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징계위 앞두고 정치적 부담 커진 문 대통령…어떤 결단 내릴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추-윤 갈등 수습하기 위한 문대통령의 선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 / 윤 총장, 1일 법원 결정에 따라 업무 복귀 / 정치권에서는 이제 징계위원회 등 강제적 방법 통한 해결 외 출구 찾기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관측

세계일보

윤석열 검찰총장을 직무에서 배제한 명령의 효력을 임시로 중단하라는 법원의 결정이 나왔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왼쪽)이 1일 오전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도착하고 있다. 추 장관의 직무 배제 결정으로 그동안 출근하지 못했던 윤석열 검찰총장이 이날 오후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극한 갈등을 수습하기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선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윤 총장이 1일 법원 결정에 따라 업무에 복귀함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이제 징계위원회 등 강제적 방법을 통한 해결 외에는 출구를 찾기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와 여권으로서는 가장 피하고 싶은 시나리오였다는 얘기도 나온다.

전날 문 대통령과 정세균 국무총리의 주례회동에서 언급된 윤 총장과 추 장관의 '동반사퇴' 카드는 현재로서는 힘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다.

우선 윤 총장의 경우 이날 법원 결정 후 곧바로 대검으로 출근한 점, 그러면서 "헌법정신과 법치주의를 지키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한 점 등을 보면 자진사퇴 의향은 없어 보인다.

추 장관도 마찬가지다.

법무부는 이날 문 대통령과 추 장관의 면담 후 "사퇴 논의는 없었다"고 공지했는데, 이는 추 장관이 물러날 뜻이 없다는 점을 에둘러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강제적인 방법이 동원되기 이전에 양측의 자진 동반사퇴를 통한 '봉합'은 이제 힘들어졌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청와대는 윤 총장의 업무 복귀에 대해서는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사법부 판단을 두고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징계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언급도 삼가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다.

문 대통령 역시 법무부 징계위가 열리는 오는 4일까지는 이번 사안에 대한 공개 메시지를 자제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표면적으로는 지금까지와 같은 모습을 보이더라도, 이날 법원 판단으로 문 대통령이 느끼는 중압감은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징계위에서 해임이 결정될 경우 문 대통령은 재가 여부를 두고 고심에 빠질 수 있다.

해임안을 재가할 경우 자신이 임명한 검찰총장의 임기를 지키지 못한다는 점은 물론, 직무 정지를 부당하다고 한 법원의 판단과 엇나가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부담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런 극단적인 상황을 막기 위해 정치적인 결단을 통한 돌파구를 모색할 수 있으리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일례로 정 총리가 추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를 하고 이를 매개로 윤 총장에게 다시 사퇴를 압박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 문 대통령이 추 장관과 윤 총장의 결단을 요구하는 공개 메시지를 내놓는 것을 검토해볼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법무부에서 어떤 징계안을 올리든 그대로 재가하는 방식으로 일단 사안을 매듭지은 뒤, 추 장관 교체를 포함한 개각으로 분위기를 일신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