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 위탁생산 전량 국내 확보 추진
2월 말부터 100만명 우선접종 시작 계획
영국 잉글랜드 남부의 옥스퍼드에 있는 처칠 병원에서 4일(현지시각) 82살의 브라이언 핑커가 샘 포스터 간호사로부터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핑커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호 접종자로 기록됐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애초 3분기(7~9월)에 받기로 했던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계약 물량 일부를 2월에 앞당겨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4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심사 절차에 착수해, 2월 중 승인이 나올 전망이다. 정부가 2월 말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에 앞서 ‘속도전’에 나선 모양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정부가 구매를 확정한 5600만명분 가운데 가장 먼저 국내 당국의 심사를 받게 됐다. 아스트라제네카 쪽이 이날 백신의 품목허가 신청을 함에 따라, 식약처는 백신의 예방효과와 안전성, 품질 확보 등을 검증하기 위한 심사에 착수했다.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00만명분 중 약 75만명분이 1분기에 들어올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백신 도입에 속도를 내는 한편, 접종 계획도 점차 구체화하고 있다. 정은경 청장은 “2월 말”부터 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앞서 고위험군 환자가 입원해 있는 의료기관 종사자와 요양병원과 같은 집단시설 거주 노인 등 100만명에 대한 접종은 2~3월, 나머지는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시기인 11월 이전까지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는 “(우선접종권장대상자) 명단 파악과 사전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며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접종은 의료기관별로, 요양병원·시설에 대해서는 병원별 방문 접종 형태로 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백신 심사 과정에서 1회차와 2회차 접종 간격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내용도 판단하게 된다. 얀센 외에 정부가 도입하려는 백신은 모두 두차례씩 접종을 받아야 한다. 영국에서 2회차 접종 시 다른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혼용 접종’ 논란이 일고 있는 데 대해, 정 청장은 “가급적이면 동일한 백신을 임상시험으로 입증된 접종 주기를 지켜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부는 이달 안에 세부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백신 도입 시간표가 윤곽을 드러내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백신을 맞기까지 남은 기간 동안에 접종 우선순위와 접종기관, 접종방식 등을 고려해 계획을 치밀하게 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2회 접종하면 (예방효과가) 62%인데 고령자에게서 충분히 검증이 안 됐다”며 “(우선접종자인) 고령자에게 입증이 덜 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타당한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예방의학)는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많이 나올 때 접종하면 속도를 내는 것이 어렵다”며 접종 과정에서 추가 전파 가능성을 포함해 세밀한 시나리오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지은 최하얀 서혜미 기자 mira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