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밤 장사는 어떻게 먹고살라는 거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3차 대유행]

정부가 16일 새로운 ‘사회적 거리 두기’ 조정안을 내놓았지만, 영업이 계속 금지된 유흥시설과 오후 9시 영업제한 조치가 풀리지 않은 술집 등 업종에서 거센 반발이 터져나왔다.

광주광역시 유흥업소 업주들은 이번 정부 방역 지침에 반발해 18일부터 영업을 재개하기로 결의했다.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광주광역시지부 관계자는 “소속 업소 700여 곳 중 상당수가 영업을 재개하고, 만약 과태료를 부과하면 다른 업소들과 공동 분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지역 업소들은 지난 5일부터 정부 방역 지침에 항의하는 뜻으로 간판과 매장에 불을 켜고 업소 문을 열어두지만 손님은 받지 않는 ‘점등 시위’를 벌여왔다.

술집과 음식점 사장들도 이번 조치에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 서울 서대문구 퓨전포차 배모(54) 대표는 “직장인들이 퇴근하고 술집에 오면 일러야 오후 7시인데, 딱 2시간 장사해서 어떻게 먹고 살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답답해 했다. 요리주점 운영 경력이 20년을 넘었다는 A씨는 “요즘 오후 5시부터 9시까지 영업해 하루 5만원 벌이가 어렵다”며 “재난지원금이고 뭐고, 밤 12시까지 정상 영업하게 해 달라는 게 우리 자영업자들의 간절한 소원”이라고 했다.

이들은 영업제한 조치로 손실을 본 소상공인에게 지원하는 100만~300만원 정도 재난지원금에 대해서도 “형평성 없는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서울 강남구에서 작은 술집을 운영하는 이모(56)씨는 “오전 4시까지 직장인들 상대로 장사했던 우리 가게와 식사 손님 상대로 오후 9~10시쯤 문 닫는 가게에 똑같이 200만원씩 지원한다니 분통이 터지지 않겠냐”고 말했다. 강남구 부대찌개 식당 업주 이모(42)씨는 “연 매출 4억원 이하 상점에 재난지원금을 공평하게 지급한다지만, 가게마다 피해 규모가 천차만별”이라며 “형평성 따지는 시늉만 할 뿐 직접 현장을 찾아 매출 피해 조사하는 공무원이 한 명도 없다”고 말했다.

카페의 경우 매장 영업 제한이 일부 완화됐지만, 업주들 불만은 적지 않았다. 서울 송파구 카페 업주 정모(62)씨는 “손님 대부분이 업무 회의차 오는 직장인이나 주변 학부모들인데, ‘1시간 됐으니 나가달라’고 하면, 오던 손님들도 등 돌릴 것 같다”고 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칸막이를 의무화하려면 정부에서 칸막이를 사 줘야 되는 것 아니냐”며 “자영업자들에게 알아서 방역하라고 떠넘기고, 제대로 된 지원도 없이 정부가 거저 먹으려고 한다”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광주=김정엽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