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공수처 1호 사건 모든 가능성 열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진욱 공수처장 후보자 청문회


파이낸셜뉴스

김진욱 공수처장 후보자 사진=박범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진욱 초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자가 "표적수사나 먼지털이식 별건 수사관행에서 탈피하는 (공수처만의) 수사모델을 만들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수처 1호 수사사건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지만 정치적 고려를 하지 않고 사실과 법에 입각해 정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19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공수처의 비전, 구성방안을 내놨다.

김 후보자는 "사법연수원을 다닌 1991~1992년 이후 30년이 지났는데 당시 검찰이 받았던 불신이 해소되고 좋아졌다기보다는 오히려 심화된 것 같다"며 "공수처 출범은 별건수사 등 (검찰)수사관행에서 탈피하는 새로운 수사 모델을 만들라고 국민들께서 명령하고 계신 걸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체적 진실만을 위해 수사한다고 하면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리한 수사방법도 동원하게 된 것이 현실"이라며 "실체적 진실뿐만 아니라 헌법에서 명령하고 있는 기본권 보호도 조화를 이루는 수사가 선진수사고 우리가 지향해야 할 수사"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공수처장으로서의 소명의식을 묻는 질의에는 "공수처는 1996년 참여연대의 입법청원으로 시작된 반부패 기구 설립 이후 25년이 된 역사적 과제라고 생각하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또 공수처 수사범위와 관련, 김 후보자는 검찰이 수사 중인 각종 현안 사건과 관련해 "모든 사건을 공수처가 넘겨받아 수사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 월성1호기 경제성 부당평가 사건, 라임·옵티머스 사건을 공수처로 이첩할 것인가'라는 질의에 대한 답변이다. 김 후보자는 이어 "차장 인선, 검사, 수사관 등도 선발해 온전하게 수사할 수 있는 수사체로 완성되려면 적어도 2개월은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공수처 차장 인선과 관련, "처장이 검찰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차장은 반드시 검찰 출신으로 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며 "양쪽 다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공수처 차장은 검찰 출신도 고려하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권력수사 과정에서 외압 대처방안에 대한 질의에 대해 김 후보자는 "의연하게 대처하고, 헌법에 나와 있는 대로 원칙대로 하겠다"고 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