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올해 농업생산액 52조5030억원…전년대비 1.9%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정혁수 기자]

머니투데이

제24회 '농업전망 2021' 행사가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 중계로 진행됐다. / 사진제공=KREI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1.9% 증가한 52조 503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코로나19 영향에서 회복해 전년대비 각각 7.1%, 6.1% 증가하지만 농업소득은 농업경영비의 증가로 전년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농업전망 2021' 행사…재배업 2.5%·축잠업 1.2% 증가할 듯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는 20일 이같은 내용의 '농업전망 2021'행사를 열고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한 농정현안과 산업별 이슈 및 전망을 모색했다.

한국농업의 미래를 그려보는 제1부 행사에서는 김현곤 국회미래연구원장의 특별강연(사회변화 전망과 30년 후의 농촌)과 국승용 KREI 농업관측본부장의 '2021년 농업과 농가경제 전망' 발표, 박영범 농식품부차관 등이 함께 한 신년 좌담회가 진행됐다.

재배업은 2020년산 쌀과 과실 가격 상승, 2021년산 과실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대비 2.5%, 축잠업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1.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농가소득은 지난해보다 1.5% 증가한 4373만원으로 추정했다.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1.8% 감소한 216만2000명, 농가 호수는 1.0% 줄어든 98만5000호로 예상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의 비중은 전년대비1.2%포인트 증가한 49.2%가 될 전망이다.

머니투데이

제24회 '농업전망 2021' 행사가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 중계로 진행됐다. / 사진제공=KREI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가인구 줄지만 농림어업 취업자 수 증가 148만명 전망

농가인구는 줄지만,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증가세가 이어져 전년보다 2.5% 증가한 148만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각각 0.8%, 0.4% 감소한 156만㏊와 162만㏊, 경지이용률은 0.5%포인트 상승한 107.3%로 예상됐다.

품목별 가격 전망을 보면 2020년산 단경기 쌀 예상 가격은 20㎏당 5만2500∼5만3800원이다. 한우는 지난해 말 기준 도축 가능한 암소는 149만 마리로 전년 대비 4.8%, 수소는 55만마리로 6.0% 많다. 이에따라 도매가격은 전년대비 7.9% 하락한 ㎏당 1만80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돼지는 오는 5월까지 출하 가능한 자돈·육성돈·비육돈 사육 마릿수가 1055만마리로 전년대비 2.7% 적다.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지난해보다 0.7% 상승한 ㎏당 4219원으로 예상된다.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고병원성 AI로 인한 살처분과 종계 사육·실용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전년대비 4% 감소한 7009만마리 수준이다. 이에 따라 달걀 산지 가격은 특란 10개 기준 작년보다 4.1% 오른 1145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머니투데이

제24회 '농업전망 2021' 행사가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 중계로 진행됐다. / 사진제공=KREI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엽근채소(배추·무·당근·양배추)는 올해 1분기에 주로 출하되는 2020년산 겨울 작형의 생산량이 재배면적 확대로 전년보다 증가하지만, 이달 한파 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월동무는 감소할 전망이다.

겨울배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12.0% 증가한 29만2000톤으로, 1분기 가격은 지난해의 10㎏당 8730원보다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월동무 생산량은 2.2% 감소한 33만1000톤에 머물러 이달 가격이 평년(20㎏당 1만3020원)보다 높았다. 다만, 2∼3월 들어서는 점차 안정세를 찾아갈 것으로 예상됐다.

국승용 한국농촌경제 농업관측본부장은 "2021년 농림어업취업자수는 2020년 증가율보다 둔화되지만 증가세 지속될 전망"이라며 "증가세는 오는 2026년까지 유지되겠지만 생산연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2027년 이후에는 감소세로 전환될 여지가 크다"고 말했다.

세종=정혁수 기자 hyeoksooj@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