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시범 원격수업을 하고 있는 모습. <한겨레> 자료 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새 학기에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등교수업을 확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교육부는 24일 “원격수업 장기화로 교육 격차와 돌봄 공백 등 우려가 커, 2021학년도 새 학기부터는 초등학교 저학년 위주로 등교수업 일수를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세균 총리는 23일 “이번 봄엔 등교수업을 정상 진행할 수 있을지 학생과 학부모의 기대와 걱정이 교차하고 있다”며 “교육부는 방역당국과 협의해 신학기 수업 방식과 학교 방역 전략을 미리 준비하라”고 말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22일 “교육 불평등이 우리 사회의 최대 과제 중 하나다. 코로나를 겪으며 더 악화됐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한 책임등교 실시를 검토하자”고 제안했다.
정부가 등교수업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자명하다. 지난해 수업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 학부모들의 돌봄 부담 가중, 교육 격차 확대 등 심각한 문제들을 낳았기 때문이다. 특히 부모와 교사의 관심이 절대적인 어린 학생들일수록 비대면수업의 부작용은 크다. 실증적인 조사연구로 확인되고 있다.
학교를 통한 감염 사례가 적다는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의 논문도 등교수업 확대 주장에 힘을 보탰다. 정 청장이 지난 20일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연구팀과 공동으로 소아감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지난해 5월1일부터 7월12일까지 코로나19에 확진된 아동·청소년(3∼18살) 127명 가운데 학교에서 감염된 사례는 3명(2.4%)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실 내 책상 띄워 앉기, 가림막 설치, 수시 체온 측정 등 방역수칙을 제대로 지키면 교내 감염 위험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뉴질랜드, 아일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등 외국의 선행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고 했다.
다만 이 논문은 조사 기간이 5~7월로 3차 유행이나 변이 바이러스 등장 등 최근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조사 시기를 달리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올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상식적으로 대면수업을 확대하면 그만큼 감염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다.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정부는 등교수업 확대로 감염 위험이 커질 가능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세밀하고 정교한 방역 대책을 세워야 한다. 방역과 교육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야 한다.
또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당분간 원격수업이 불가피한 만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지난해처럼 부실한 준비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원성을 사는 일이 없어야 한다. 저소득층 학생들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공, 원격수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 학교와 교사들의 충실한 수업 준비 등 제반 여건을 새 학기 시작 전에 갖춰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바란다.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