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사설] 자신이 생산한 가짜뉴스 뒤늦게 반성한 유시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22일 "검찰이 노무현재단 계좌를 들여다봤다"며 제기한 사찰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었다"고 공식 사과했다. 1년여 만에 자신이 생산한 가짜뉴스에 대해 고개를 숙인 것이다.

유 이사장은 노무현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검찰이 재단 계좌를 열람하고 저를 사찰했을 것이라는 의심을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정중하게 사과드린다"며 "어떤 형태의 책임 추궁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그는 2019년 12월 유튜브 채널 '알릴레오'에서 검찰이 재단 계좌와 자신의 계좌를 열람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을 비판하는 개인에 대해 불법적 사찰을 해도 되냐"고 질타했다. 당시 검찰은 "악의적 허위 주장"이라고 했지만 유 이사장은 작년 7월에도 "한동훈 검사가 있던 (대검) 반부패 강력부 쪽에서 봤을 가능성이 크다"고 목청을 높였다. 유 이사장의 이번 사과는 검찰 수사 와중에 자신의 잘못된 발언을 솔직히 인정해 선처를 호소하려는 속셈일 수 있다. 금융실명제법상 수사기관이 계좌를 조회할 경우 당사자에게 의무적으로 통보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증거가 없는 유 이사장으로선 더 이상 사과를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유야 어떻든 유 이사장이 과오를 반성하고 책임을 지겠다고 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유 이사장 같은 여권 인사가 집단적 확증편향에서 벗어나 객관적 시각에서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은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그동안 여권에선 숱한 잘못과 비리를 저질러놓고도 제대로 사과를 한 경우가 거의 없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가족 비리, 울산시장 선거 개입,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 라임·옵티머스 로비 의혹 등 국민적 공분을 초래한 사건에서도 변명과 회피로 일관했다. 심지어 검찰에 책임을 떠넘긴 데 이어 수사권마저 빼앗으려 하고 있다. 최근 여권 지지율이 하락한 것은 명백한 잘못을 저지르고도 "뭐가 나쁘냐"며 뻔뻔하게 목소리를 높이는 오만과 독선 탓이 크다. 여권이 국민 신뢰를 회복하려면 각종 비리 의혹에 대해 참회하고, 근거 없는 가짜뉴스로 검찰·언론·기업·사학을 적대시하는 시도부터 멈춰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