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SK텔레콤, 모빌리티 통신 인프라 구축 "국내 플라잉카 시대 선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국내 플라잉 카 기술을 선도하는 기관·기업과 함께 육상과 공중 교통수단을 연결하는 혁신적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한다.

SK텔레콤은 27일 김포공항에서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과 도심 항공모빌리티(UAM)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UAM은 전기 구동 수직 이착륙 소형기체(eVTOL)를 활용한 항공 이동 서비스다. 승용차로 1시간 걸리는 거리에 20여분 만에 도착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범정부 협의체 'UAM Team Korea'를 구성, 2025년 UAM 상용 서비스 개시 목표를 내건 바 있다. 이를 위해 통신 환경과 안전 확보방안 등 국내 여건에 맞는 운항 기준도 설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협약을 체결한 4개사는 향후 UAM 인프라, 기체, 운항서비스, 항행교통, 플랫폼, 수요, 수용성 등 전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교통혼잡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 정착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항공교통 통신 네트워크 모델을 실증하고 구축하는 역할을 맡았다. UAM을 안전하게 관제하기 위해서는 기체와 지상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통신 체계가 필요하다. SK텔레콤은 지상뿐만 아니라 공중에서도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 UAM을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개발해 탑승 예약과 육상 교통수단의 환승,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UAM을 비롯한 버스·철도·퍼스널 모빌리티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나간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UAM 관련 산업은 2040년경 전 세계적으로 731조원 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시티의 모빌리티 혁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분야인 만큼 각국 정부도 적극적으로 사업화에 나서고 있다.

UAM에는 기체 설계부터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까지 다양한 사업 역량이 종합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미국,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도 정부와 다양한 사업자들이 연합체를 이뤄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대표는 "역량 있는 사업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우리나라가 목표로 하는 K-UAM 로드맵을 현실화하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앞선 ICT를 기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모빌리티 인프라를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차현아 기자 chacha@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