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기타파생결합증권(DLS) 시장이 국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대규모 손실 사태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DLS 시장 규모는 12조7000억원으로 1년새 31% 감소했다. 같은기간 전체 파생결합증권 시장 규모가 116조5000억원에서 107조6000억원으로 7.6% 줄어든 것보다 훨씬 위축된 것이다.
DLS는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자산인 주식·주가지수 이외에 신용, 펀드, 금리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발행하는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이다. 2005년 도입된 DLS는 한때 17조원대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2019년 DLF 사태 등으로 위험요인이 크게 부각되면서 축소되고 있다.
기초자산별로는 신용(4조4000억원, 34.3%), 상장지수펀드(ETF)(2조5000억원, 19.6%), 펀드(2조4000억원, 19.0%), 금리(2조2000억원, 17.2%), 원자재(1조3000억원, 9.9%) 등 순으로 많았다.
신용을 기초로 한 DLS는 다른 기초자산과 달리 최근까지 꾸준히 발행 및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기초자산으로 삼은 기업 등이 부실화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하지만, 주로 국가·공공기관(LH공사 등)·대기업 등 신용도가 높은 대상을 기초로 발행되고 있어 대규모 원금손실 가능성이 작다는 점이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는 최근 독일 헤리티지, 홍콩계 젠투 등 일부 펀드를 기초로 한 DLS의 환매 중단 등으로 손실 위험이 확대되면서 신규 발행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지난해 6월 말 잔액 2조4000억원 중 약 62%(1조5000억원)에서 환매 중단 사유 등이 발생했다.
금리 기초 DLS는 DLF 사태 이후 신규 발행·판매가 대부분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 개인 투자자의 손실 가능성은 작은 편이다. 원자재 기초 DLS는 유가 급락 등으로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지는 듯했으나 최근 유가가 회복되면서 안정세를 되찾았다. 다만 DLF 사태 후속 조치로 공모발행 요건이 강화되면서 신규 발행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금감원은 DLS 시장의 양적 성장이 제한되고 질적 내실화도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일부 DLS에는 리스크 요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DLS 시장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규모 환매 중단 등 문제 발생 소지가 높은 펀드 기초 DLS에 대한 세부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