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유튜버' 관련 사회문제 중 가장 심각한 건 '가짜뉴스 전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언론진흥재단,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보고서 발표

유튜버·유튜브채널 규제 대해선 57.2% "지금보다 더 강력하게 해야"

서울경제


유튜브에 동영상 콘텐츠를 올리는 이른바 ‘유튜버’가 빚었던 각종 사회문제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가짜뉴스의 전파’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과반수는 유튜버를 대상으로 지금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필요로 한다고 답했으며 플랫폼사업자나 기획사, 공공기관 등의 주관 하에 유튜버들에 대한 윤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사람은 10명 중 9명을 웃돌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3일 발표한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보고서를 통해 유튜브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를 보면 유튜버들이 문제를 일으켰던 6가지 유형 중 가짜뉴스 전파에 대해 응답자의 87%가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약간 심각하다고 답한 11.1%를 합하면 가짜뉴스 전파의 심각성을 지적한 비율은 98.1%에 달한다.

또한 어린이·장애인 등 약자를 착취하는 행위가 심각하다고 한 응답자도 82.7%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성범죄자 조두순이 출소한 후 집 근처에서 유튜버들이 생중계를 벌인 사건처럼 유명인이나 알려진 사건을 악용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74%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그 외 이른바 ‘벗방’으로 불리는 노출방송(65.1%), 안전수칙 지키지 않은 위험한 체험(64.8%) 등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유튜버 및 유튜브 채널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57.2%가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현 수준 유지(19.5%), 자율규제(18.6%), 규제 반대(4.7%)를 고른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규제 필요성에 더 강하게 공감했고, 연령대로는 50대에서 더 강한 규제를 주장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아울러 유튜버에 대한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선 절대다수인 93.3%(매우 필요 55.4%, 약간 필요 37.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유튜버를 독자적인 직업과 취미활동 가운데 어느 쪽에 더 가깝다고 보는지에 대해 70.6%는 독자적인 직업에 가깝다고 답했다. 주요 직업 중 유튜버를 겸업하는데 대한 생각을 묻자 직업별로 다양한 결과가 나왔다. 정치인의 겸업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63.2%로 가장 높았고, 전문가(의사·변호사·과학자 등)의 겸업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11.7%로 가장 낮았다.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