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재명 "은행에 대출 상품 압박했다? 의도적 조작 보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이재명 경기지사가 6일 '주요 은행에 신용도를 따지지 않고 연 3% 금리 장기대출 상품을 요구했다'라는 최근 언론 보도에 대해 "가능 여부를 문의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남윤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능 여부 문의한 것"

[더팩트ㅣ송주원 기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주요 은행에 신용도를 따지지 않고 연 3% 금리 장기대출 상품을 요구했다'라는 최근 언론 보도에 대해 "가능 여부를 문의한 것뿐"이라며 "의도적 조작 보도"라고 해명했다.

이 지사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선비즈는 제목에 '단독'자를 붙이고 겹따옴표까지 쳐가며 '신용도 보지 않는 대출 상품 만들라'고 이재명이 시중은행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제가 그런 요구를 은행에 한 적도 없거니와 기사에서 언급된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은행에 보낸 공문은 은행에 가능 여부를 문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사는 "'가능 여부 문의'와 '만들라고 요구했다'는 것의 차이를 기자나 데스크가 모를 리 없으니 의도적인 조작 보도일 수밖에 없다. 완전한 날조"라고 지적했다.

자세한 문의 내용에 대해 이 지사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기본금융(대출)과 관련해 경기도와 경기신보가 전액 대출 회수를 보증할 경우 신용도 신경 쓸 필요 없는 대출상품을 만들 수 있는지 문의하는 내용이었다"며 "은행 입장에서는 경기도 산하 공기관이 경기도와 함께 지급보증하면 신용도에 따른 부실 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도 은행이 위험하다고 판단하면 안 하면 그만이다. 마치 부실 위험을 억지로 떠넘기며 상품을 내놓으라고 강요한 것처럼 묘사한 것은 사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현재의 시스템은 정작 생활비나 자녀교육, 결혼, 학업 등으로 돈이 필요한 사회초년생이나 사회적 약자들이 높은 이자율 때문에 빌릴 수가 없는 역설에 처해있다"며 "서민들에게 정부에서 보증해주고 소액 장기저리대출해 줘서 회생의 기회를 부여하면 복지지출 및 부담이 줄어서 국가로서도 재정적 이익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금도 선순환하고 소비도 늘리고 금융통화정책을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 합리적 정책인데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조작을 해가면서까지 공격하는 이유가 결국 저리 고액 장기대출의 혜택을 계속 독점하겠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더팩트

이재명 경기 지사는 경기신보에서 은행에 보낸 공문을 첨부하며 "조선비즈 기사대로 '요구'한 것인지 아니면 '문의'한 것인지 직접 판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지사는 경기신보에서 은행에 보낸 공문을 첨부하며 "조선비즈 기사대로 '요구'한 것인지 아니면 '문의'한 것인지 직접 판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해당 언론은 5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기본소득, 기본주택에 이어 '기본대출' 정책 드라이브를 걸면서 시중은행에 관련 대출상품을 만들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 지사가 은행들에 '신용도와 상관없이 1인당 500만~1000만 원을 10년간 연 3% 금리로 빌려주는 금융상품 개설'을 요구했다는 내용이다.

ilraoh@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