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부자·대중부유층, 부동산→주식 등 금융자산 '머니 무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자(금융자산 10억원이상)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이상)의 돈 흐름이 부동산에서 주식 등 금융자산으로 옮겨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우리나라 부자와 대중부유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자들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큰 폭으로 조정했다.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 비중이 증가한 동시에 주식 비중도 늘었다. 또 사모펀드 신뢰도 저하로 펀드·신탁 비중이 감소하고 보험·연금 비중이 늘었다.

특히, 주식투자의 경우 부자와 대중부유층 모두 적극적인 모습이었다. 이들 절반은 코로나19 이후 주식 비중을 늘렸다고 응답했으며(부자의 53%, 대중부유층의 48%) 올해 주식시장도 완만한 상승을 예상하는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이 같은 자산 리밸런싱으로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양호한 투자 수익률을 거뒀다. 이는 당초 기대했던 목표 수익률보다도 높은 편이었다. 금융자산 수익률 10% 이상의 고수익을 거둔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주식 직접투자(49%)와 주식형펀드(13%) 덕분이었다고 응답했다.

◆ 올해 자산 리밸런싱은 관망세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체감하고 있는 경기전망은 대체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실물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가, 부동산 경기의 경우 52%가 앞으로 더 안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같은 부정적 경기전망을 바탕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절반 이상은 올해 '현재의 자산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혀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 보다 '관망하겠다'는 태도가 우세했다.

자산구성을 변경할 계획인 경우 부동산 보다는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더욱이 부동산 고액자산가(보유 부동산자산 50억원 이상)의 29%는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응답,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부동산자산에서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로 살펴봤을 때 부자들의 경우 지난 5개년 조사 중에서 '현재 자산구성을 유지하겠다'는 응답률(51%)이 올해 가장 높았고 '부동산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응답 비율은 8%로 지난 5개년 중 가장 낮았다.

◆ 주식 투자 선호현상은 올해도 '쭈~욱'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투자할 계획인 금융상품으로는 단기금융상품, 지수연계상품, 정기예금, 주식 직접투자, 외화자산(해외주식, 해외채권, 달러 등) 순으로, 단기 금융상품과 정기예금 등 안전자산과 예비성 자금은 여전히 부자들이 가장 선호했다.

지수연계상품의 경우 각종 금융사고로 인해 선호도가 떨어졌지만 여전히 우선 순위로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상품 중 하나고 꼽혔다. 아울러 부자들의 경우 주식 직접 투자와 주식형 펀드 모두 지난해에 비해 선호도가 급격히 상승(주식 12%→36%, 주식형펀드 14%→21%, 1,2,3순위 응답 통합) 했다.

외화자산도 투자계획 의향이 높았다. 외화 예금보다는 해외 주식에 대한 투자 의향이 상승했다.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더불어 부자들의 국내 및 해외 주식 선호현상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수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들과 대중부유층들은 자산 리밸런싱에 대한 관망세가 우세한 가운데 부동산 보다는 금융자산으로 관심이 옮겨온 경향이 짙다"면서 "단기금융상품과 예금의 비율을 일정부분 유지하면서 국내 및 해외주식, 지수연계상품, 주식형 펀드 투자를 통해 수익을 추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부동산 투자는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 응답이 절반 이상


지난해 부동산 자산가치 상승 영향 등으로 부자들의 부동산 자산비중이 늘었다. 특히, 부동산 포트폴리오 중에서 거주목적 주택 비중이 크게 증가해, 상업용 부동산 비중을 넘어섰다. 거주목적주택 비중이 41%를 차지하고, 상업용 부동산과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각각 34%, 11% 순이었다. 향후 부동산 거래와 관련 부자들은 정책 변화에 상관없이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매입의 경우 '매입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43%에서 56%로, 매각의 경우에도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51%에서 56%로 늘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향후 정책 변화 등 추이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은 매입은 42%에서 26%로, 매각은 30%에서 21%로 줄었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확인했고 부동산 관련 세부담이 가중, 부자들의 입장 변화가 엿보인다.

종합부동산세 부담 증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뚜렷한 대응방안이 없다(38%) ▲증여(31%) ▲매각(26%) 순으로 응답했다. 보유 부동산 자산이 높아질수록 매각보다 증여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부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은 3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31%, 5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에 29%가 분포하고 있다. 총 자산 중 53%는 부동산 자산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대중부유층은 총자산 10억원 미만 구간에 절반 가량 분포하고 있으며 자산 포트폴리오 중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6%였다.

가구 연소득의 경우 부자들의 경우 2억원 이상이 46%로 가장 많았고, 2억원이상 소득 구간에서 사업소득 34%, 근로소득 33%, 재산소득 21% 순으로 구성돼 있었다. 반면 대중부유층의 경우 가구 총 소득은 5000만원이상 1억원 미만에 39%, 1억원이상 2억원 미만 구간에 33%가 분포, 전 소득 구간에서 근로소득 비중이 높았다.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은퇴 후 예상 필요 생활비(부자 월 804만원, 대중부유층 월 420만원)의 약 39%, 44%를 연금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 ifyouare@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