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한국투자증권 "3월 FOMC, 조기 금리인상·테이퍼링 'NO'…변동성 줄어들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은 미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이 조기 금리인상과 테이퍼링 가능성을 일축했다며 금리인상 우려가 줄어들어 시장 변동성이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18일 전망했다.

권희진·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뒷북’ 전략의 인내심을 보여준 연준이 조기 금리인상 우려를 차단했다"며 "경제지표 전망의 숫자를 보면 연준이 최대한 인내심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최근 경기와 고용 개선세를 반영해 경제전망을 상향하면서도 2023년까지 연방기금금리를 동결하겠다는 전망을 유지했다.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나아진다는 전망이 아닌 실제 지표의 진전을 보고싶다"며 "전망에만 근거해 먼저 변화를 주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또 "지금은 테이퍼링을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 일축하며 시장의 조기 금리인상과 테이퍼링 우려를 차단했다.

2023년 실업률 예상치는 12월에 비해 0.2%포인트(p) 더 낮아진 3.5%로 발표됐다. 이는 1970년이후 가장 낮았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직전의 실업률 값으로 완전고용 실업률에 가까운 수준이다. 또 지난해 12월 2023년이 돼서야 겨우 2.0%에 닿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헤드라인 및 근원 PCE 물가 상승률은 이번 회의에서 2021~2023년 모두 2.0%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수정됐다.

권희진·안재균 연구원은 "연준의 뒷북 전략을 재확인한 셈"이라며 "예전처럼 경제전망에 따라 미리 유동성을 조절하는 게 아니라 어디까지 좋아질 수 있을 지 지표를 확인하며 대응하겠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는 부작용(물가 상승)을 상쇄할 만큼의 효과(고용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면 가능한 데까지 밀어부칠테니 걱정을 내려 놓으라는 얘기다.

권희진 연구원은 "이번 회의는 지난해 평균물가목표제로 선회한 이후 처음으로 물가 전망이 2%를 넘었지만, 이에 크게 반응하지 않겠다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실질적으로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금융시장엔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아직 SLR(보충적 레버리지 비율) 추가 연장 여부가 확정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완전히 소멸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시장 변동성은 잦아들 것이란 예상이다.

이다비 기자(dabe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