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바이든 “北·中 문제 협력”...스가 “韓·美·日 협력 중요” [美·日 정상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 “인도태평양서 중국·북한 공동 대응”

스가 “북한의 CVID 약속이행 요구 일치”

세계일보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오른쪽) 일본 총리.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16일(현지시간) 중국 견제와 북한 비핵화 문제 등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이날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밝혔다. 지난 1월 20일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대면 정상회담은 일본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도전 과제와 동중국해, 남중국해는 물론 북한과 같은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과 일본은 인도태평양에서 강력한 두 민주주의 국가라며 “우리는 인권과 법치를 포함해 공동의 가치를 수호하고 진전시키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 미중 갈등이 확산하는 상황에서도 미일 양국이 중국 견제에 협력하자는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안전하고 신뢰할 5G 네트워크 촉진에서 반도체 같은 중요한 부문의 공급망 협력 증대, 인공지능, 유전체학, 양자 컴퓨팅과 같은 분야의 공동 연구 추진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가 총리도 “북한 대응이나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이 전례 없이 중요해졌다는 인식에서 일치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및 강제징용 판결 등을 놓고 갈등하는 상황에서도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한 것은 한·일 관계가 개선돼야 한다는 미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스가 총리는 북한에 대해 “대량 파괴 무기 및 온갖 사정의 탄도미사일의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에 대한 약속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토대를 둔 의무에 따를 것을 강하게 요구하기로 일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중국해나 남중국해에서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 지역의 타자에 대한 위압에 반대하기로 (의견이) 일치했다”며 이번 회담에서 중국 견제 논의가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스가 총리는 특히 “대만이나 신장웨이우얼(新疆維吾爾·신강위구르) 지역을 둘러싼 상황에 관해서 논의했다”며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에 관해 미·일 간에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정재영 특파원 sisleyj@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