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美, 러시아 제재 확대 검토…유통시장서도 러 국채 매입 금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에 최근 부과한 제재를 평가 중이며,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사용할 수 있는 옵션엔 러시아 국영 은행이 발행한 루블화 표시 채권 유통시장에 미 금융기관의 참여를 금지하는 조치가 포함돼 있다.

발행 후 첫 90일 이상 동안 러시아 국채가 유통시장에서 거래되는 걸 막는 움직임을 포함해 제재 조치를 강화할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지난 15일 러시아 중앙은행, 재무부, 국부펀드가 발행하는 신규 채권을 미 금융기관이 매입하지 못하게 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발효일은 오는 6월 14일부터다.

미국은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러시아 국채 발행 시장 뿐만 아니라 유통시장도 옥죌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이 애초 이런 제재를 부과한 건 러시아가 미 대선에 개입한 의혹이 있고, 연방 기관도 해킹했다고 봐서다.

제재엔 미국에서 외교관 신분으로 일하는 10명의 러시아 정부 당국자를 추방하는 조치 등도 있었다.

미 관리들은 현재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할지를 기다리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러시아는 전날 미국의 제재에 대응해 10명의 미국 외교관에게 추방을 통보하고, 8명의 전·현직 관리는 입국금지 대상에 올렸다. 그러나 미국이 러시아 국채에 가한 제재에 대응하는 데까진 이르지 않았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는 미국 기업의 이익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당분간 보류할 것”이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미국과 러시아 관계는 더 악화할 수 있는 신호가 감지됐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이 이날 기밀 정보 탈취 혐의로 알렉산드르 소소뉴크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재 우크라이나 영사를 체포하고, 사흘 안에 떠나라고 하면서다. 우크라이나는 대응을 시사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루블화 대상 최근 조치의 영향과 러시아 채권에 대한 외국인 소유의 변화를 보기 위해 글로벌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 러시아중앙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자본 흐름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이들은 전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오는 23일 기준 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러시아 채권과 루블화는 미국의 지난 15일 제재 발표로 작년 12월 이후 가장 많이 하락했다. 그러나 이튿날 손실분을 만회했다. 제재가 우려했던 것보다 경미하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었다.

hongi@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