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제 'K-주사기'도 흔들…'정보 공개'도 한 달 늦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황기선 기자 = 10일 오전 서울 양천구 정다운 요양병원에서 의료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접종을 준비 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이날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열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접종 여부를 결정한다. 2021.3.10/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K-주사기'도 불안하다. 코로나19(COVID-19) 백신 투여량 극대화가 가능해 'K-방역' 성과로 꼽혔던 '최소잔여형(LDS)' 주사기에서 이물이 발생해 대량 수거됐다. 당국은 관련 사실을 뒤늦게 알리기도 해 '선택적 정보공개' 지적도 제기되는 상황. 백신 수급불안과 4차 유행 확산 우려 등 'K-방역' 전반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불똥이 주사기로도 튄 형국이다.

18일 방역당국은 이물 발견으로 LDS 주사기가 대량 회수되기 시작한 사실을 한 달 가량 공개하지 않은 것 관련, "(해당)업체가 자진교환 등의 조치를 취해 행정처분 및 공표의 대상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해당 사실은 전일 알려졌다. 지난 17일 방역당국은 국내 한 제조사가 생산한 최소잔여형 주사기와 관련한 20건의 신고가 발생했다며 수고 예정 주사기는 70만개로 16일 기준 약 63만개가 수거됐다고 밝혔다.

문제 발생 시점을 따져보면 이는 뒤늦은 발표혔다. LDS 주사기 이물질 신고는 지난 2월 27일에 처음 들어왔고, 3월 18일에 사용중지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 사실이 한달 이상 지나서야 공개된 셈이다.

LDS 주사기는 그동안 정부가 대대적으로 홍보한 K-방역 성과 중 하나였다. 버려지는 백신 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스톤과 바늘 사이 공간이 거의 없도록 만든 특수 제품이다. 주사량을 기존 5명분에서 6명분으로 20% 늘릴 수 있어 백신 국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2월 18일 한 LDS 주사기 생산사를 직접 방문해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이 주사기 생산사는 국내 3개인데, 이 가운데 이물 발견 등으로 신고된 21건 중 19건이 'D사' 제품이었고 70만개 회수조치가 내려진 제품도 이 회사 제품이다. 문 대통령이 방문한 제조업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D사 제품은 120만개가 의료현장에 배포됐는데 회수되는 70만개를 제외한 나머지 50만개는 이미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위해 사용됐다. 다행히 해당 주사기 사용으로 인한 피해 사례는 없었다. 해당 이물은 섬유질로 제조소 작업자의 옷에서 나온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물의 주사기 바늘 통과가 어려워 피해 사례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사실이 뒤늦게 전해진 것 관련, 의료계에서는 불리한 것은 공개를 미루는 '선택적 발표'라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과 백신 국면에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가 국민 신뢰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인데 그러지 못했다는 것. 정부는 앞서 국내 AZ백신 접종 후 혈전 사망신고 관련 정보도 뒤늦게 공개했고, 지난 주에는 확정되지 않은 백신 위탁생산 계약 내용을 일부 공개하기도 해 국민 방역 불신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K-주사기 이물 논란은 백신수급과 방역 국면은 여전히 엄중한 가운데 불거졌다. 현재까지 확정된 상반기 도입 백신물량은 약 900만명 분인데 이는 상반기 정부 접종 목표인 1200만명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구체적인 추가 도입 시점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현재 수급상황을 감안하면 전 국민의 70% 이상을 접종시켜 오는 11월 집단면역을 이루겠다는 정부 시간표 달성이 쉽지 않아보인다는 것이 의료계 지적이다.

방역당국은 주사기 논란 관련, "방역과 관련된 물품은 기술지원팀을 통해 품질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고 필요한 부분은 더 소상히 알리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