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3 (목)

"새만금은 ESG 중심…투자진흥지구 마련해 기업유치 속도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새만금 매경포럼 28일 개최 ◆

매일경제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이 16일 서울 용산구 새만금 투자전시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새만금 그린뉴딜 추진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형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91년 새만금 방조제 착공 이후 30년간 지지부진했던 전북 새만금 개발 사업이 일대 전기를 맞았다. 용지 조성 수준에 머물던 새만금 1단계 사업이 지난해 종료된 가운데, 올해부터는 '콘텐츠'를 채워넣는 2단계 사업이 본격화한다. 정부가 지난 2월 '2단계 새만금 마스터플랜', 이달 초 '새만금 그린+디지털 뉴딜 종합 추진방안'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분위기는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핵심은 문재인정부가 천명한 한국판 그린·디지털 뉴딜이다. 국내 최대 규모 재생에너지 생산 설비인 3GW(기가와트)급 태양광·풍력 재생에너지 단지에 더해 고속도로·신공항·신항만 등 핵심 기반시설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여기에 연간 1.5만t 규모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와 국내 최초로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RE100' 산업단지 조성 등이 추진된다.

'미운 오리'가 '백조'로 거듭나는 중요한 변곡점에서 매일경제신문은 새만금 개발을 총괄하는 '최전선 사령관'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을 지난 16일 서울 용산구 새만금 투자전시관에서 만났다. 양 청장은 "2050년까지 새만금을 세계적인 '그린뉴딜과 신산업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 청장은 오는 28일 전북 군산 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새만금 그린뉴딜 매경포럼'에 앞서 새만금 개발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민간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양 청장은 "결국 규모가 큰 핵심 기업이 들어와야 인구가 늘고 제반 시설도 자리 잡을 수 있다"며 "대한민국 대표 국책사업인 새만금을 투자진흥지구로 지정하고, 보다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해 기업 유치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무엇보다 "기업의 ESG 경영(환경·책임·투명경영)이 각광받는 지금이야말로 그린뉴딜을 앞세워 새만금 투자를 확대할 적기"라는 게 양 청장 생각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왜 새만금 그린뉴딜인가.

▷그간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했기에 오히려 새만금은 무엇이든 그릴 수 있는 도화지가 됐다. 얼마든지 그린·디지털 뉴딜의 테스트베드로 삼을 수 있다. 2023년까지 1.7GW, 2026년까지 3.6GW, 2030년까지 1.5GW 규모 육·수상 태양광과 해상풍력 발전시설이 차례로 들어선다. 새만금에서 필요한 수요를 재생에너지로 충분히 조달할 수 있어 RE100 산단 등 그린뉴딜 핵심 사업이 가능하다. 남는 에너지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2단계 새만금 마스터플랜이 새롭게 발표됐다. 핵심이 뭔가.

▷새만금을 한국판 그린·디지털 뉴딜 선도지구로 만드는 것이다. 새만금에만 3GW 규모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단지를 기반으로 △연간 1.5만t 규모 그린수소 생산설비 △국내 최초 RE100 달성 산단 △세계적인 수준의 데이터센터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원활한 개발을 위해 그간 민간에 맡겼던 내부간선도로 주요 구간 등 기반시설에 대한 국가 재정 투입을 강화했다.

―구체적인 개발 계획은.

▷새만금 개발면적은 총 409㎢로 서울의 3분의 2에 달한다. 방대한 규모를 고려해 특성별로 권역을 구분하고 각각 자족 기능을 갖추도록 설계했다. 재생에너지 단지와 인접한 새만금 북측(1권역)은 스마트 그린산단과 공항경제특구 사업을 추진한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와 전문인력 양성센터도 마련해 그린에너지 종합 클러스터를 만든다. 2028년 개항할 신공항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한다. 중앙부(2권역)에는 그린수소 복합단지를 조성한다.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한 수소 플랫폼 도시를 만들고, 새롭게 건립하는 신항만과 연계해 항만경제특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남측(3권역)에는 자율주행차 등 신기술 실증과 관광·레저를 결합한 관광·신산업 복합단지를 구현하려 한다.

―가장 중요한 현안은.

▷기업 유치를 위해서는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 대표적인 현안이 새만금 투자진흥지구 지정 문제다. 지난해 정부에서 추진해 국회에 법안이 올라가 있는데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돼 있다. 그린뉴딜 선도지구로 탈바꿈하기 위해 반드시 지정이 필요하다.

―기업 관심도에는 변화가 있나.

▷그동안 불편한 교통, 지방이라는 특성 때문에 기업 유치가 쉽지 않았다. 간척지 특성상 기반 조성 비용이 일반용지에 비해 비싸다는 점도 민간 투자가 더딘 이유였다. 하지만 2018년 4월부터 새만금 산단에 장기임대 용지를 확보하기 시작하면서 기류가 바뀌었다. 공시지가 1% 수준으로 낮은 임대료에 최장 100년간 땅을 임대해주기 때문에 중소기업 입주가 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새만금형 RE100 사업'을 앞세워 대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RE100 준수를 약속하면 투자 내용과 연계해 태양광 발전사업 인허가권을 부여해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다. 지난해 SK컨소시엄(SK E&S·SK브로드밴드)이 총 2조원을 투자해 창업 클러스터와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로 한 것이 대표적인 성과다. 앞으로는 화학·철강 등 이른바 탄소에너지 다소비 업종을 적극적으로 노릴 방침이다.

―그린수소 클러스터를 강조하는데.

▷새만금은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능력이 있다. 그린수소는 깨끗한 수소를 생산할 기초체력이 있다. 다만 지금은 수전해 기술 발전이 더뎌 부생·개질수소보다 생산 단가가 높다. 현대자동차·LG전자 등 민간 기업과 손잡고 그린수소 사업화 공동연구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