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추미애도 오세훈도 "외눈"…'장애비하' 반복하는 정치권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사민 기자]
머니투데이

장애인의 날인 지난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정신장애동료지원센터 관계자들이 장애인 차별구제 청구소송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원들에게 장애 비하 발언을 멈출 것을 촉구하고 있다. 2021.4.20/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방송인 김어준씨를 감싸려다 '외눈'이란 표현을 써 이를 두고 정치권 공방이 펼쳐지고 있다. '외눈'이란 표현도, 추 전 장관과 같은 '장애인 비하' 논란도 둘 다 처음은 아니다.


秋 "외눈 언론, 양눈 뉴스공장"…"비하가 맞다"vs"비하가 아니다"

추 전 장관을 둘러싼 '장애인 비하' 논란은 23일 그가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두둔하고자 올린 글에서 비롯됐다. 추 전 장관은 '뉴스공장'의 정치 편향성을 비판하는 주장이 제기되자 23일 페이스북에 "자유로운 편집권을 누리지 못하고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들이, 시민 외에 눈치 볼 필요가 없이 양눈으로 보도하는 '뉴스공장'을 타박하는 것은 잘못"이라 썼다.

추 전 장관의 '외눈' 표현을 두고 장혜영 정의당 의원이 나섰다. 중증 발달장애인 동생이 있는 장 의원은 24일 "('외눈'은) 명백한 장애 비하 발언"이라며 "장애를 비하하는 표현을 쓰지 않아도 얼마든지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할 수 있다"며 추 전 장관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이상민 민주당 의원도 25일 "설마 추 전 장관께서 장애인 비하 의도를 갖고 그런 수준 이하 표현을 한 것은 아닐 것이라 애써 짐작한다"면서도 "하지만 잘못한 게 틀림없는 만큼 서둘러 사과하기 바란다"고 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추 전 장관은 26일 페이스북에 "국어사전을 보면 접두사 '외-'는 '혼자인'의 뜻도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친'이란 뜻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외눈만 쌍꺼풀이 있다' '외눈으로 목표물을 겨누다' '외눈 하나 깜짝 안 하다'는 표현의 '외눈'은 시각장애인을 지칭한 것이 아니며 장애인 비하는 더더욱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에 장 의원은 같은 날 "사전적 의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외눈'을 '양눈'보다 가치가 덜한 것, 편향적인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했다"며 "(추 전 장관이) 예로 든 '외눈만 쌍꺼풀이 있다' '외눈으로 목표물을 겨누다' '눈 하나 깜짝 안 하다'는 표현은 장애 비하 표현이 아니다. 추 전 장관의 글에서 '외눈'이라는 단어는 사전적 의미가 아니라 정상성의 기준으로 제시된 '양눈'이라는 표현에 대비되어 비정상성의 비유로 사용됐다"고 반박했다.


"외눈박이 공세" "꿀 먹은 벙어리" "조현병 환자"…반복되는 논란

정치인의 혐오표현 논란은 잊을만하면 제기되는 문제다. 특히 '외눈'이라는 표현은 불과 한 달 전 지금은 서울시장이 된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써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는 야권단일후보로 선출된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에서 여권을 향해 "진실에는 눈 감고 거짓만을 앞세우는 외눈박이 공세에 저는 절대로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농인(청각장애 등으로 말하지 못하는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벙어리'란 표현도 흔히 쓰인다.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지난달 4일 "문재인 대통령과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오거돈 전 부산시장 일가의 가덕도 땅 투기에 대해서는 왜 꿀 먹은 벙어리인가"라고 했지만 비교적 논란 없이 지나갔다. 2019년 8월 황교안 자유한국당 전 대표는 "(문 대통령이) 북한 미사일 도발에는 벙어리가 돼버렸다"고 해 장애인단체의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해찬 민주당 전 대표는 지난해 1월 민주당 유튜브채널 '씀'에서 "선천적인 장애인은 어려서부터 장애를 가지고 나와 의지가 약하다고 한다"고 말해 인권위의 '권고' 조치를 받았다. 그는 2018년 12월에도 "정치권에서 말하는 거 보면 저게 정상인가 싶을 정도로 정신장애인들이 많이 있다"고도 했다.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7월 홍남기 경제부총리에게 "경제부총리가 금융 부분을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정책 수단이 절름발이가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가 사과한 바 있다.

이사민 기자 24mi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