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오세훈 “광화문광장 복원 안할 것” 시민단체 “약속 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 “공정 34%라 복구하려면 400억

월대 복원, 완성도 높여 공사 계속”

시민단체 “당장 공사 중단” 성명

중앙일보

오세훈 서울시장은 27일 브리핑을 열고 광화문광장 조성과 관련해 “원상복구의 경우 복구 비용까지 최소 400억원의 매몰 비용이 발생한다”며 “현재 계획된 안을 바탕으로 보완·발전해 완성도를 높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공사가 진행 중인 광화문광장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원상복구’까지 거론됐던 광화문광장 재조성 사업을 보완하는 형태로 추진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이미 세금 수백억원이 투입돼 원점으로 되돌리는 게 더 손해라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후보 시절 약속을 뒤집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광화문광장 조성 공사를 진행하되 현재 안을 보완·발전시켜 오히려 완성도를 높이기로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이미 공정이 34% 진행돼 원상복구를 하려면 최소 4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그러면서 “문제점은 최소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민의 세금을 단 한 푼이라도 헛되이 사용하고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것, 바로 이것이 서울시장의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은 오 시장이 시장으로 재직한 2009년 8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됐다. 광화문광장을 세종로 한가운데에 두고 조선시대 육조거리 모습을 복원한다는 게 첫 구상이었다. 하지만 박원순 전 시장이 광장을 세종문화회관 한쪽으로만 확장하는 형태의 재구조화를 추진하면서 방향이 바뀌었다. 이후 인근 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극심한 반대로 사업이 표류했고, 지난해 11월 중순 서정협 시장 권한대행 체제에서 첫 삽을 떴다.

오 시장은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돌연 광장 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졌다”며 “결과적으로는 행정의 연속성이 훼손되고 오히려 시민들 간에 찬반 갈등이 야기됐다”고 했다. 아울러 오 시장은 “기존 방안보다 광장의 역사성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는 “월대(月臺) 복원은 역사성 회복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과제로 이번 공사에 추가하겠다”며 “월대 복원은 조선시대 왕과 백성이 소통하고 화합하던 상징적 공간의 복원으로 역사적 의미가 남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대는 조선시대 주요 건축물 앞에 지상에서 높게 조성한 넓은 단으로, 국가적 중요 행사가 열리던 장소다. 경복궁 앞 월대는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이후 복원되지 않고 있다.

중앙일보

오세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서울시는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 등 시민들에게 사랑받던 기존 시설을 그대로 두되 더욱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 발표 이후 시민사회단체와 서울시의회 측 반응은 엇갈렸다. 경실련과 도시연대 등 9개 시민단체는 발표 직후 “지금 상태에서 당장 공사를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하라”는 성명을 냈다. 그러면서 “오늘 오 시장의 발표 내용은 예산부터 써버리면 되돌릴 수 없다는 식의 밀어붙이기식 행정과 혈세 낭비를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무리한 공사를 추진한 책임자들을 처벌하고, 다시는 이런 예산 낭비와 일방적인 행정 추진이 반복되지 않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28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앞에서 오 시장 규탄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반면에 그동안 광화문광장 사업에 대해 지속적인 추진 입장을 내왔던 서울시의회는 반색했다. 김인호 서울시의회 의장은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시장이 바뀔 때마다 기존에 해오던 사업들이 뒤집어지는 건 비합리적이라는 입장을 계속 보여왔기 때문에 일단 오 시장의 이번 결정에는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사라 기자 park.sar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