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지분 상속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된 가운데 홍라희 여사가 캐스팅 보트를 쥘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홍 여사가 삼성생명 지분 상속을 포기했지만 삼성전자 개인 최대주주로 올라선 데 따른 것이다.
■'캐스팅 보트' 쥔 홍라희 여사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홍 여사는 삼성전자의 주식을 법정 비율에 따라 가장 많이 상속받는 동시에 당초 지분이 없던 삼성물산과 삼성SDS의 지분도 자녀들보다 많은 법정 비율로 상속받고 주요 주주가 됐다.
주식 상속가액을 보면 홍 여사가 5조4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 부회장(5조원), 이부진 사장(4조5000억원), 이서현 이사장(4조1000억원) 순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홍 여사가 삼성생명 지분을 포기한 것은 이 부회장의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희생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삼성전자 등 나머지 계열사 지분까지 받은 것은 예상하지 못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이어 "홍 여사가 이 부회장의 상속세 부담을 덜기 위해 지분을 나눠받았을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삼성전자 최대주주로 올라선 홍 여사가 이 부회장의 지원군으로 나설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계열사 주가는 상속보다는 실적이 더 큰 영향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상속 결정에 따라 그룹주 재평가를 예상했다. 이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올라선 삼성물산은 지배구조 개편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긍정적 흐름이 예상됐다. '이 부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그룹 지배구조에서 계열사 지분가치도 빠르게 반영될 예정이다.
삼성생명은 그룹 내 삼성전자 최대주주로 향후 배당 증가가 기대된다. NH투자증권은 삼성생명에 대해 삼성전자 특별배당 수익 등을 이익 추정치에 반영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7만6000원에서 9만1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상속은 상속일 뿐 각각의 상장기업이 당면한 사업의 추진 여부에 따라 주가의 희비가 갈릴 것이란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이 부회장은 이미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그룹 전반에 대한 안정적인 경영권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도 "(이번 상속은) 배분의 문제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김현정 김민기 조윤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