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차세대 5G 모뎀 칩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삼성전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가 '삼성 네트워크, 통신을 재정의하다'라는 제목으로 22일 글로벌 온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네트워크사업부가 글로벌 공개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일본, 미국, 영국 1위 통신사업자에 5G 장비 수출을 이어가면서 네트워크사업부가 단독으로 글로벌 행사를 열 정도로 커진 셈"이라고 말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를 중심으로 반 화웨이 전선이 확대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유럽 통신사들에게도 5G장비를 납품하기 위해,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행사에서는 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무선사업부 임원들이 가상화(Virtualization),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6G, 특화망 5G(Private Networks) 분야에 대한 기술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통신장비에 들어가는 칩셋부터 직접 설계하는 하드웨어 역량과 다년간의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소프트웨어 노하우'가 경쟁력으로 꼽힌다.
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차세대 5G 모뎀 칩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삼성전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경훈 사장은 "삼성전자는 4G 이동통신이 보급되기도 전인 지난 2009년에 선제적으로 5G 연구를 시작해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하는 등 전세계 5G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급성장하고 있는 5G 시장에서 이미 4G 사업 계약 건수보다 더 많은 사업 계약을 수주해 전세계에 400만대 이상의 5G 기지국을 공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년 이상의 자체 칩 설계 경험과 독보적인 소프트웨어 역량을 바탕으로 5G 시장에서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선도 업체와의 파트너십과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모든 사물과 사람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초연결 시대로의 진입 가속화에 앞장 설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이날 행사에서는 ▲기지국용 차세대 핵심칩 ▲차세대 고성능 기지국 라인업 ▲원 안테나 라디오 솔루션 등이 소개됐다.
이날 공개된 5G 기지국용 차세대 핵심칩은 기존 대비 데이터 처리용량을 2배로 늘린 '2세대 5G 모뎀칩'과 안테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인 '3세대 밀리미터웨이브 무선통신 칩' 등 3종이다.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기지국 크기는 줄였다. 내년에 출시되는 차세대 고성능 기지국 라인업에 탑재될 예정이다.
고성능 이동통신 기지국 라인업도 공개했다. '3세대 듀얼밴드 컴팩트 매크로' 기지국은 업계 최초로 2개의 초고주파대역을 동시에 지원한다. 차세대 '다중입출력 기지국'은 400MHz 광대역폭을 지원하고, 새로운 방열 기술을 적용해 최대 통신 속도는 높이면서도 소비전력을 20% 줄였다.
산업별 맞춤형 5G 네트워크 환경 구축 사례도 소개됐다.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운영하고 있는 '5G 스마트 팩토리'와 국내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 사업이 대표적인 예다. 특화망 5G는 한국에서 네이버, 삼성SDS 등도 관심을 보이고 있어 올해 주파수가 개방되면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예정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의제가 된 '오픈랜(Open-RAN)'과 6G 투자 관련 내용도 소개됐다.
이날 공개한 기술은 상용 수준의 '5G 가상화 기지국(vRAN)' 솔루션이다. '5G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여러 제조사 장비를 연동해 준다. '다중입출력 기지국'과 연결돼 기가비트(Gigabit) 급 속도를 지원한다. 테라헤르츠 데이터 통신 성공 사례 등 6G 기술 투자 사례도 소개됐다.
시장조사업체 델오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글로벌 5G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은 화웨이(31.4%), 에릭슨(28.9%), 노키아(18.5%) 순이다. 삼성전자는 7.1% 점유율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버라이즌부터 올해 일본 NTT 도코모, 영국 보다폰까지 각 국 1위 사업자들에게 5G 장비 공급계약 체결을 이어가고 있다. 5G 투자가 활성화되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에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