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이주열 한은 총재, 올해 금리인상 첫 공식화..."연내 금리 정상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종합)]

머니투데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적절한 시점에 금리수준을 정상화하겠다"며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 계획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이 총재는 "지금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한 두 차례 인상한다고 해도 통화정책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4일 오전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금리를 한두 번 올리게 된다고 해도 긴축이라고 볼 수 없다"는 박종석 부총재보 발언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 침체에 대응해 낮춘 금리를 (회복) 상황에 맞춰 조정하는 것은 필요한 과정이고 이를 긴축으로 볼 수 없다"고 했다.

이 총재는 "지금 금리 수준은 지난해 코로나19(COVID-19) 이후 실물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기 시작했을 때 상황에 맞춰 이례적으로 (유동성을) 확대한 것"이라며 "연내 적절한 시점에서 금리수준을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 11일 창립기념사에서 하반기 통화정책 정상화를 언급했지만, 연내 금리 조정 계획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0.5%의 금리를 결정한 이후 8차례, 12개월 동안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달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위원 다수가 현재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총재는 금리 정상화 배경으로 물가 상승세와 가계부채 누적 등 금융불균형을 꼽았다. 이 총재는 "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며 앞으로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은 지금보다 점점 더 높아질 것"이라며 "최근 물가 흐름은 기저효과와 공급측 영향 커서 물가상승 자체는 지금보다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기 관점에서 보면 인플레이션 초래 요인 또한 적잖이 잠재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고 있고 가계부채가 여전히 큰 폭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불균형 누적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고려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불균형을 소홀하게 여기면 반드시 시간을 두고 중기적으로 경기와 물가에도 굉장히 큰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최근 경기 회복세를 유지하면 실제 GDP(국내총생산)에서 잠재GDP를 뺀 값인 'GDP 갭 마이너스'도 내년 상반기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 여파로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돌며 GDP 갭 마이너스 폭이 커졌지만 경기 회복세가 빨라짐에 따라 내년 상반기에는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이 총재는 "성장세가 전망치보다 더 확대되면 GDP 갭 마이너스 해소 시기도 더 앞당겨질 것"이라며 "경우에 따라선 올해 말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최근 정부·여당이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30조원대로 추진하는 것과 한은의 금리인상 신호 간 '엇박자'를 지적한 것에 대해서도 보완적 정책 조합'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영은 반드시 모든 방향과 비슷한 강도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금리정상화 과정에서 취약계층이 겪는 어려움을 재정 정책에서 커버(보완) 해주면 오히려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재정당국과 서로 정보 공유한다든가 현상황에 대한 인식, 정책효과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