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에 개입 요청했으나 주아프간 대사관 철수로 대응 지연
탈레반, 공습 주도한 공군에 적개심 커 송환되면 생명 위험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기자 = 우즈베키스탄으로 도주한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의 공군 조종사들이 추방 위기에 놓였다.
조종사들은 탈레반이 빠르게 아프간을 장악하자 2주 전 가족과 함께 수백명을 태우고 헬리콥터와 비행기를 몰고 접경 우즈베키스탄으로 탈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미국에 조종사들을 제3국으로 조기에 송환하라고 요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으로부터 훈련을 받은 이들이 계속 머무를 경우 탈레반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것이다.
미국은 아프간 정부군의 공군력 강화를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며 공을 들여왔다. 비행기 제공은 물론 유지·보수와 조종사 훈련에도 막대한 자금을 들였다.
탈레반은 지난 20년 동안 이뤄진 공습으로 무수한 사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특히 아프간인 조종사에 대한 적개심이 높은 상태다.
미국 공군 조종사 출신의 하원 외교위 소속 어거스트 플루거 의원은 "아프간 조종사들이 아프간에 돌아간다면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고 국무부에 개입을 촉구했다.
그러나 국무부가 조속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서 우즈베키스탄도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
아프간 조종사와 결혼한 한 미국 여성은 "탈레반이 카불을 장악하던 날 남편이 새벽 3시에 전화해서 '이게 마지막 통화가 될 수도 있어. 사랑해'라고 말했다"며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다.
주미 우즈베키스탄 대사는 플루거 의원에게 "조종사들을 아프간에 보내지는 않겠지만, 계속 우즈베키스탄에 머물 수도 없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은 지난 수년간 탈레반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탈레반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아프간 대통령이 외국으로 망명할 때도 우즈베키스탄을 경유했으나 급유할 때만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공군 조종사를 포함해 현재 우즈베키스탄으로 탈출한 아프간인은 모두 585명으로 임시 거처에 수용 중이다.
aayys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미 수송기에 오르는 아프간인들 |
조종사들은 탈레반이 빠르게 아프간을 장악하자 2주 전 가족과 함께 수백명을 태우고 헬리콥터와 비행기를 몰고 접경 우즈베키스탄으로 탈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미국에 조종사들을 제3국으로 조기에 송환하라고 요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으로부터 훈련을 받은 이들이 계속 머무를 경우 탈레반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것이다.
미국은 아프간 정부군의 공군력 강화를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며 공을 들여왔다. 비행기 제공은 물론 유지·보수와 조종사 훈련에도 막대한 자금을 들였다.
탈레반은 지난 20년 동안 이뤄진 공습으로 무수한 사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특히 아프간인 조종사에 대한 적개심이 높은 상태다.
이 때문에 탈레반도 우즈베키스탄에 공군 조종사들의 신병 이관을 요청했다고 WSJ가 전했다.
미국 공군 조종사 출신의 하원 외교위 소속 어거스트 플루거 의원은 "아프간 조종사들이 아프간에 돌아간다면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고 국무부에 개입을 촉구했다.
그러나 국무부가 조속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서 우즈베키스탄도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
아프간 조종사와 결혼한 한 미국 여성은 "탈레반이 카불을 장악하던 날 남편이 새벽 3시에 전화해서 '이게 마지막 통화가 될 수도 있어. 사랑해'라고 말했다"며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다.
이들은 2019년에 결혼해 남편의 미국 입국 비자도 겨우 2주 전에 받았다.
주미 우즈베키스탄 대사는 플루거 의원에게 "조종사들을 아프간에 보내지는 않겠지만, 계속 우즈베키스탄에 머물 수도 없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은 지난 수년간 탈레반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탈레반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아프간 대통령이 외국으로 망명할 때도 우즈베키스탄을 경유했으나 급유할 때만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공군 조종사를 포함해 현재 우즈베키스탄으로 탈출한 아프간인은 모두 585명으로 임시 거처에 수용 중이다.
주아프간 미국 대사관이 철수함에 따라 주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이 이를 대신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국무부가 비자를 발급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aayys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