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장동 개발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문화재 조사 대상이 축소됐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2만㎡ 넘게 조사 대상이 줄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놓고 화천대유에서 해당 업무를 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만으로 그런 일이 과연 가능했겠느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강민우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중앙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009년,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일대에 매장 문화재를 조사할 땅 12곳, 16만 6천㎡를 지정했습니다.
대장동 개발이 본격화한 이후 묘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런데 2017년 '원형보전녹지'로 지정되면서 발굴 대상 지역에서 제외됐습니다.
현행법상 원형보전녹지에서는 개발은 물론 문화재 발굴도 금지됩니다.
원형보존녹지로 바뀌면서 대장동 문화재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땅은 2만 6천751㎡.
실제로 화천대유에서 일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은 '50억 퇴직금'에 대한 입장문에서 "사업지 내 문화재가 발견돼 공사 지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그런 사유를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곽 의원은 당시 문화재청을 담당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소속이었습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대장동의 경우, 문화재 측면에서 절차상 하자가 없다고 본다"며 "통상적으로 개발사업에서 거치는 과정들은 충실히 이행된 걸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김용우, 영상편집 : 유미라)
▶ "묵시적 승인" vs "검찰권 농단"…법무부, 특검 반대
▶ 이재명 향한 집중 공세…청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
강민우 기자(khanporter@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대장동 개발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문화재 조사 대상이 축소됐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2만㎡ 넘게 조사 대상이 줄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놓고 화천대유에서 해당 업무를 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만으로 그런 일이 과연 가능했겠느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강민우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중앙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009년,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일대에 매장 문화재를 조사할 땅 12곳, 16만 6천㎡를 지정했습니다.
대장동 개발이 본격화한 이후 묘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이곳은 지난 2009년,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 중 일부였습니다.
그런데 2017년 '원형보전녹지'로 지정되면서 발굴 대상 지역에서 제외됐습니다.
현행법상 원형보전녹지에서는 개발은 물론 문화재 발굴도 금지됩니다.
원형보존녹지로 바뀌면서 대장동 문화재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땅은 2만 6천751㎡.
문화재 조사로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장동 개발 시행사 측이 인허가권을 가진 곳의 도움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실제로 화천대유에서 일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은 '50억 퇴직금'에 대한 입장문에서 "사업지 내 문화재가 발견돼 공사 지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그런 사유를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곽 의원은 당시 문화재청을 담당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소속이었습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황평우/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 : 속된 표현으로 하면 '바꿔쳤다'라는 거거든요?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강한 어떤 조력자가 있지 않았으면 쉽게 그렇게 바꿔지지 않는다고 (저는 판단합니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대장동의 경우, 문화재 측면에서 절차상 하자가 없다고 본다"며 "통상적으로 개발사업에서 거치는 과정들은 충실히 이행된 걸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김용우, 영상편집 : 유미라)
▶ "묵시적 승인" vs "검찰권 농단"…법무부, 특검 반대
▶ 이재명 향한 집중 공세…청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
강민우 기자(khanporter@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