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손가락 긴 남자, 정자 더 많다? 손 보면 아는 '알쏭달쏭 건강' [건강한 가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손은 ‘신체의 축소판’이라 불렸다. 손에서 건강 이상 징후를 찾으려는 노력은 수천 년간 이어져 왔다. 그런데 실제로 손 모양으로 전신의 건강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의학적 근거가 점차 밝혀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손 모양만으로도 특정 질병의 가능성이나 건강 상태를 어느 정도 유추하는 데 도움된다고 강조한다. 손만 잘 봐도 혹여 숨어 있을지 모르는 질환을 찾을 수 있단 얘기다. 손 모양으로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전신 건강 신호를 알아본다.



곤봉지 폐섬유화증·COPD·폐암 신호



손톱과 손가락 끝이 곤봉처럼 뭉툭해진 손가락을 ‘곤봉지(棍棒指)’라고 부른다. 곤봉지는 폐 기능의 이상 신호일 수 있다. 경희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최혜숙 교수는 “특발성 폐섬유화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기관지 확장증, 폐암 등 폐 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상당수에게서 곤봉지 증상을 동반한다”고 설명했다. 폐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산소가 부족한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 최 교수는 “저산소증이 나타날 때 몸에서는 산소를 실은 피를 곳곳에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해 혈관 내피 성장인자,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자극하고, 말단 부위의 모세혈관과 결체조직을 증식시켜 곤봉지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곤봉지를 자가 진단하는 방법이 있다. 양 손바닥을 마주 보게 한 상태에서 검지를 구부려 손톱끼리 맞대는 방식이다. 이때 손톱의 뿌리 부분에 마름모(◇) 모양의 틈이 생기면 정상이지만, 이 틈이 생기지 않으면 곤봉지에 해당한다. 이 진단법은 남아프리카 심장 전문의인 레오 샴로트가 고안한 것으로, 마름모꼴 틈을 창문으로 빗대 ‘샴로트의 창문 테스트’라고 불린다. 최 교수는 “특발성 폐섬유화증 초기에는 샴로트의 창문이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병이 진행하면 대부분 이 창문이 보인다”고 강조했다.

2019년 영국 암연구소에 따르면 폐암 환자의 약 35%에서 곤봉지가 동반된다. 염증성 장 질환, 에이즈 등 의외의 질환에서도 곤봉지가 생길 수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의 경우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가 활발해지면서, 에이즈 양성의 경우 폐 기능 저하 증상을 동반하면서 곤봉지가 나타난다. 곤봉지가 의심되면 원인 질환부터 찾아야 한다. 곤봉지가 있으면서 숨이 잘 차면 호흡기내과를,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샴로트의 창문’이 보이지 않는다면 가까운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아본다.



긴 약지 전립샘암 발병 위험↑



남성의 손가락 길이 비(比)로 전립샘암 발병 위험을 가늠할 수 있다. 손가락 길이 비는 검지 길이에서 약지 길이를 나눈 값을 말한다. 가천대 길병원 비뇨의학과 김태범 교수는 “한국인의 경우 이 값이 0.95 이상이면 여성형 손가락, 0.95 미만이면 남성형 손가락으로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가령 검지가 6.8㎝, 약지가 7.5㎝일 때 이 둘을 나눈 값은 0.9이므로 남성형 손가락이다. 대체로 약지가 검지보다 상대적으로 길 때 남성형 손가락으로 구분한다. 김 교수는 “엄마 배 속에서 태아의 검지보다 약지에 성호르몬 수용체가 많이 분포하는데, 안드로겐(남성호르몬) 수용체에 안드로겐이 결합한 후 발현하는 특정 유전자가 약지를 더 잘 자라게 하고,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 수용체에 에스트로겐이 결합한 후 발현하는 특정 유전자가 약지를 덜 자라게 하는 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손가락 길이 비가 낮을수록(약지가 발달할수록)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브라질 비뇨기과학회지(2012)에 따르면 김태범 교수팀은 전립샘암 의심 환자 166명에게 전립샘 조직검사를 시행하면서 손가락 길이 비와 전립샘암 진단율 등을 함께 연구했다. 그 결과 손가락 길이 비가 0.95 미만으로 ‘남성형 손가락’을 가진 환자는 0.95 이상(여성형 손가락)인 환자보다 전립샘암으로 진단받는 확률이 2.8배 더 높았다. 전립샘암은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증식한다. 전립샘암 치료법 중 하나가 남성호르몬 억제요법인 것도 이 때문이다. 김 교수는 “태아기 남성호르몬은 손가락 형성뿐 아니라 전립샘 등 남성 생식기관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전립샘암을 진단할 때 고령, PSA(전립샘 특이 항원) 수치 등과 함께 손가락 길이 비도 하나의 지표로 참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손가락 길이 비가 0.95 미만이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소변 횟수가 잦아지고 잔뇨감, 야간 다뇨 등의 증상이 있다면 비뇨의학과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다.



짧은 약지 부정맥·협심증 발병 가능성↑



중앙일보

약지(넷째 손가락) 길이가 검지보다 짧으면 심장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통신학회지(2011)에 따르면 충북도립대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교수팀은 부정맥·판막증·심부전증·협심증 등 심장 질환을 앓는 남성 환자 20명과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손가락을 영상 촬영해 약지 길이를 픽셀 단위로 측정했다. 그랬더니 심장 질환을 앓는 환자의 85%(17명)는 약지 길이가 검지보다 평균 7.75픽셀 더 짧았다. 반면에 정상인은 90%(18명)에서 약지 길이가 검지보다 평균 16.8픽셀 더 길었다. 연구팀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량이 적으면 심장에 이상이 생길 확률이 증가하는데, 이 연구결과는 테스토스테론과 심장 질환, 약지 길이와의 상관성을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더 많은 임상 결과를 토대로 심장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법으로 약지 길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심장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남성에게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적을수록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고 동맥경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연구팀은 “약지가 검지보다 짧은 사람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그만큼 심장 건강에도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약지가 검지보다 짧고 혈압·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면 테스토르테론 수치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다. 또 유산소 운동, 체중 조절, 약물 요법 등으로 심장 질환 예방에 힘쓸 필요가 있다.



노란 손은 간 이상 징후일 수 있다? ○



귤·오렌지·호박 등 베타카로틴이 많은 식품을 먹으면 손이 일시적으로 노래질 수 있다. 이런 식품을 먹지 않았는데도 손이 노랗고 눈 흰자위까지 노랗다면 황달일 수 있다. 황달은 간염, 간 경변 등으로 황색의 담즙색소인 빌리루빈이 체내에 쌓이면서 피부를 노랗게 만드는 질환이다. 간 경변이 있을 때 엄지 근처의 두툼한 손바닥에 빨간 반점이 생길 수 있다. 에스트로겐이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면서 나타나는 결과다.



남성의 손가락 길이는 생식 기능과 관련 없다? X



태아 시기에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을수록 약지가 발달하는데, 이는 생식 기능과 직결될 수 있다. 조선대병원 비뇨의학과 연구에 따르면 남성 불임 환자군의 평균 손가락 길이 비는 1.07로 정상군의 평균(1.01)보다 높았다. 약지가 검지보다 상대적으로 짧다는 의미다. 또 정상군은 1회 사정 시 사정액이 3.66mL, 정자 수는 1만109마리지만, 환자군은 각각 0.97mL, 3000마리에 불과했다. 가천대 길병원 비뇨의학과 연구에선 손가락 길이 비가 낮은 그룹은 높은 그룹보다 음경이 0.9㎝ 더 길었다.



여성의 손가락으로 자녀 성별을 알 수 있다? △



확률 정도는 알 수 있다. 서울대병원과 가천대 길병원이 남성 257명, 여성 251명을 대상으로 손가락 길이 비, 자녀의 성비를 분석한 결과 손가락 길이 비가 낮은 그룹(0.95 미만), 즉 약지가 발달한 여성은 손가락 길이 비가 높은 그룹(0.95 이상)보다 아들을 가질 확률이 13.8% 더 높았고 딸만 가질 확률은 48.1% 더 낮았다. 여성의 손가락 길이 비율이 체내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상관성을 가지면서 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정심교 기자 simkyo@joongang.co.kr 도움말=박훈기 한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김태범 가천대 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정심교 기자 simky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