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이슈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

매년 쌓여가는 기후변화 피해···‘적응’ 노력의 현재는 [COP26]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투발루의 사이먼 코페 외무장관이 바다에서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보내는 연설을 진행하는 모습 | 사이먼 코페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태평양의 섬나라 투발루의 사이먼 코페 외무장관은 지난 4일(현지시간) 물이 무릎까지 차오른 바다에 들어가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보내는 연설을 시작했다. 해발 고도 2~3m에 위치한 투발루는 지구온난화가 현재 속도로 유지되면 50년 이내 수몰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기후 위기에 따른 섬나라들의 생존 위기를 강조한 그의 연설은 9일 열리는 COP26 회의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기후 위기는 투발루 이외의 다른 국가들에게도 실존적 위협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해 아시아에서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나 산사태로 피해를 입은 인구는 약 5000만명, 사망자는 5000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재산상의 피해도 수백조원에 달한다. 한국도 240억달러(약 28조원)의 피해를 입었다. 기후 대응에는 수년이 걸리지만 그 사이에도 인류가 입는 피해는 현재진행형인 것이다. 이에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은 온실가스 감축 만큼이나 국제사회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완화만큼이나 중요해진 적응

기후변화 대응은 크게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의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기후변화의 원인을 찾아 줄이려는 노력이 완화라면 적응은 이미 변했거나 변하기 시작한 기후에 적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기후 대응 노력은 시일이 걸리는 반면 이에 따른 피해는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커졌기에 기후 적응 노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기후 적응을 위해 각국은 주기적으로 종합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EU집행위원회는 지난 2월 ‘유럽 그린딜’의 일환으로 ‘신 EU기후변화적응전략’을 발표했고, 미국도 지난달 7일 기후변화적응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은 5년 단위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며 지난해 3차 대책이 발표됐다.

기후 변화에 따른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대응 전략의 규모는 커지고 있다. 미국은 23개 정부 기관이 기후 적응계획에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여기에는 국방부와 항공우주국(NASA)까지 포함됐다. 분야별 대책도 국가 주요시설(군사시설 등)에 미치는 기후 영향 분석, 비상시의 공급망 구축까지 다양하다. 한국도 대응 분야를 넓히고는 있으나 아직 대다수 대책의 주무부처는 환경부로 한정돼 있다.

세계 각국은 기후 적응을 위한 기술적인 시도도 내놓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 소개 자료를 보면 홍수의 위협을 받는 인도 케랄라주에선 기둥 위에 주택을 지어 물이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했으며, 방글라데시에선 아예 부력 탱크를 탑재한 건물을 기둥 위에 얹자는 아이디어도 나왔다. UNEP는 태풍 피해를 줄이기 위해 돔 모양의 집을 건설하겠다고 밝힌 필리핀 다피탄시의 사례도 소개했다.

폭염을 피하는 전략도 있다. 콜롬비아 메데인에서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열섬 효과가 가장 높은 지역을 선정해 도로나 수로를 따라 그늘이 되는 나무를 심었고, 이를 통해 기온을 낮춘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 파리는 도시를 관통하는 센강의 온도가 8도 이하로 떨어지면 강물을 끌어와 박물관 등 도시 건물들의 냉각에 활용하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도 온타리오 호수의 냉수를 끌어올려 도시의 냉각시스템에 활용하고 있다.

경향신문

방글라데시의 부력 있는 건물 ‘Shelter of Kindness’ 구상도 | 자이언트 그라스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 적응도 경제력이 중요

기후 적응 전략 실행을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적 지원이 중요하다. 당장의 재정난 속에서 지출 후순위로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UNEP가 지난 6월까지 코로나19 재정 부양책을 사용한 66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후 적응에 명시적으로 자금을 투입한 국가는 3분의 1 미만이었다. 코로나19에 각국의 부채가 커진 만큼 향후 기후 적응을 위한 지출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개발도상국들은 기후 적응이 절실함에도 여력이 부족하다. UNEP가 지난 4일 발표한 ‘2021 적응격차보고서’를 보면 개발도상국의 기후 적응 비용은 오는 2030년까지 연간 1400억~3000억달러, 2050년까지 연간 2800억~5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국제사회가 개도국의 기후 적응을 지원하는 금액은 2019년 기준 796억달러 수준이었다.

COP26에서도 개도국의 적응을 위한 지원이 주요 이슈로 부상했다. COP26 측은 지난 8일 성명을 내고 지역 주도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4억5000만달러 이상을 동원하며, 개도국을 위한 기후적응 기금에 2억3200만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인도·태평양 지역 내 취약국가들의 기후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회복력 있는 아시아를 위한 기후 행동’(CARA) 프로그램에 2억7400만 파운드를 지원하는 계획을 내놨다.

개도국들은 제대로 된 적응 대책을 위해 선진국들이 약속한 연 1000억달러 지원이 실질적으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앞서 주요 7개국(G7)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2020년까지 개도국에 매년 1000억달러의 기후기금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못했다. 이번 COP26에서도 아직 구체적인 이행 방안은 나오지 않았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