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전쟁 생지옥' 가자 주민 3분의 2 "하마스 통치 끝났으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7개월 넘게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가자지구 주민의 3분의 2가 하마스의 통치가 끝나기를 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16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정책조사 연구센터가 지난 3월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해 가자지구에서 하마스에 반대하는 여론이 상당하다며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여론조사를 진행한 팔레스타인 정책조사 연구센터의 칼릴 시카키는 "내일 선거가 열린다면 하마스는 가자지구 주민 3분의 1의 지지를 받을 것"이라며 "이는 지난해 10월 7일 (전쟁 발발) 이전보다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마스는 2006년 선거에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집권당 격인 파타를 누르고 승리했고, 이후 가자지구에서 파타를 몰아냈습니다.

더타임스는 많은 가자지구 주민이 전쟁과 관련해 이스라엘을 원망하고 있지만, 하마스에 대한 분노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세 아이의 아버지인 아타(39)는 더타임스에 "많은 팔레스타인 사람이 이제 전쟁이 끝나길 원하지만, 하마스의 잔혹한 통치도 두려워하고 있다"며 "하마스는 모든 것을 파괴하면서도 누구와도 권력을 나누려 하지 않고 계속 싸우려고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팔레스타인 장관 출신으로 요르단강 서안 비르제이트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가산 카티브는 가자지구 주민들 사이에 두 가지 주된 논쟁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하나는 이런 끔찍한 (이스라엘의) 반응을 왜 예상하지 못했냐는 것과 또 하나는 왜 준비하지 않았냐는 것"이라며 "왜 싸울 탄약은 충분한데 약은 충분하지 않고, 병사들을 위한 벙커는 충분한데 민간인들이 피할 곳은 왜 없는지가 논쟁거리"라고 말했습니다.

무사 아부 마르주크 하마스 정치국 부국장의 발언도 가자지구 주민들의 분노에 기름을 끼얹었습니다.

그는 한 TV 인터뷰에서 하마스가 왜 민간인들의 터널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민간인들은 유엔의 책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에 맞서 싸울 무장세력으로서 하마스에 대한 가자지구 주민들의 신뢰가 여전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7명의 자녀를 둔 아이만 아부 누키라는 "극심한 더위와 전쟁, 끊임없는 두려움으로 전쟁이 끝나기를 바란다"면서도 "우리는 이스라엘에는 여전히 골칫거리가 될 것이기 때문에 저항군(하마스)이 승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팔레스타인 정책조사 연구센터의 시카키도 "하마스를 지지하지 않는 많은 사람도 실제로는 다양한 이유로 10월 7일 전쟁 결정과 저항군을 지지한다"며 "전쟁이 국제사회가 팔레스타인 문제를 좀 더 근본적이고 중요하게 바라보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하마스의 지지율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파타나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 등 다른 대안에 비하면 여전히 높다"며 "모든 정파가 동의한 비정치적인 정부가 6개월이나 1년간 과도기를 통치하고 선거를 치르는 것이 더 좋겠지만 대다수 가자 주민들에게 하마스는 여전히 최선의 선택지"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을 통합하도록 하겠다는 미국의 '전쟁 후 구상'이 그다지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더타임스는 평가했습니다.

더타임스는 미국의 이런 구상에 대해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사람은 지지하지 않으며 이스라엘 또한 반대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지난 15일 화상 성명을 통해 가자지구 통치 주체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용납할 수 없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종훈 기자 whybe0419@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