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한국문화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아프리카의 한 유튜브채널에 ‘오징어 게임’을 모티브로 한 댄스영상이 올라왔다.
드라마 속 생존게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모티브로 아이들이 춤을 추는 영상은 ‘오징어 게임’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해 눈길을 끌었다.
아프리카에도 한류가 서서히 뜨거워지면서 한국문화 확산 창구인 한국문화원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문을 연다. 전 세계 33번째 한국문화원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해외문화홍보원[원장 박정렬, 이하 해문홍(KOCIS)]은 주요 20개국(G20)의 유일한 아프리카 회원국으로서 아프리카 경제를 이끌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전 세계 33번째 한국문화원을 개원한다고 11일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프리카 최대 시장이자 다양한 인종을 바탕으로 생동감 있는 문화를 형성해 아프리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곳이다. 한국인들에게는 ‘넬슨 만델라 대통령’과 ‘2010년 월드컵’ 개최지로도 친숙하다.
아프리카대륙에서 나이지리아, 이집트에 이어 세 번째로 문을 연 주남아공 한국문화원(원장 천정범)은 해외 대사관 등이 밀집한 프리토리아 지역의 2층 단독건물을 임차해 새롭게 단장했다.
1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과 함께 3개의 전시실, 케이팝과 태권도 연습실, 전통 한옥 체험실, 도서관, 한식 조리실, 3개의 강의실,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문화․체험 시설과 편의시설을 갖췄으며, 앞으로 아프리카 진출의 관문으로 꼽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한국문화 확산과 홍보활동의 주요 중심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주남아공 한국문화원은 개원을 기념, ‘전통과 첨단기술의 공존’이라는 주제로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연다. 디지털 시대에 전통적 한류 콘텐츠가 첨단기술과 어떻게 융합해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재탄생하는지, 한국문화 콘텐츠의 진화를 보여줄 계획이다. 개원식은 11월 24일(수) 오후 3시(현지 시각)에 열릴 예정이다.
해문홍 박정렬 원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재외 한국문화원을 국유화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은 ’95년 개원 이후 5번이나 이전했는데 이번에 국유화로 다시 문을 열어 더욱 안정적인 환경에서 한국문화를 전파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주남아공 한국문화원은 ’18년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이후 3년 만에 신설한 곳으로서 아프리카대륙의 관문에 한국문화 진출의 거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밝혔다.
이전 확대한 주 러시아 한국문화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와함께 해문홍은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을 모스크바 아르바트 거리로 이전, 확대 재개원한다.
러시아에서 1995년, 한국공보원으로 출발한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원장 위명재)은 해문홍의 ‘한국문화의 세계(글로벌) 확산 전략(2018-2022)’에 따라 건물을 매입, 국유화하고 지난 6월 모스크바 문화・예술・관광 중심지 ‘아르바트’ 거리로 이전했다.
‘아르바트’ 거리는 푸시킨 박물관, 바흐탄코프 극장, 슈킨 연극대학 등 문화기관이 모여 있는 유서 깊 문화예술 거리이다. 한국인들에게는 1980년대 러시아 대중음악계의 대표 록밴드 ‘키노’의 빅토르 최(고려인)를 추모하는 담장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은 예전보다 2배 이상 넓은 2,600㎡ 공간을 확보(4층 단독건물의 3~4층 매입)해 3층에는 환영장(리셉션), 250석 규모의 공연장, 전시장, 조리실 등 문화 체험공간과 도서관을 마련했다. 4층에는 세종학당 강의실과 문화강좌실, 사무공간 등이 있다.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은 재개원을 기념해 우리 실감 콘텐츠의 대표 작품들을 한자리에 모은 ‘한국: 입체적 상상’과 강병인 작가의 한글 멋글씨 ‘모스크바, 한글 꽃피다’를 전시하는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재개원식은 코로나19의 여파로 미뤄져 11월 12일(금) 오후 5시(현지 시각)에 열린다.
mee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