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G7 정상회담

G7, 러에 우크라 도발 경고… 中엔 “강압적 경제 정책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12일(현지 시각) 영국 리버풀에서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는 G7 외교장관/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 리버풀에 모인 G7 외교 장관들이 러시아와 중국을 상대로 단결된 모습을 보였다.

12일(현지 시각) G7과 유럽연합(EU) 외교 장관들은 리버풀에서 10~12일 열린 G7 외교·개발장관회의 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관해 별도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G7은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7개국을 뜻한다.

이날 성명에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추가로 군사적 공격을 가할 경우 그 대가로 엄청난 결과와 심각한 비용이 발생할 것임을 의심해선 안 된다”는 경고의 메시지가 담겼다. 또 “우리는 공통되고 포괄적인 대응에 관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

이어 “우크라이나를 향한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과 공격적 수사를 규탄한다”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에서 말했듯이 러시아가 긴장을 완화하고 외교 소통을 추구하며 투명한 군사 행위에 관한 국제 약속을 준수하기를 요구한다”고 했다.

이와 별도로 G7 외교장관들은 이날 트러스 영국 외무장관이 발표한 의장 성명에서 “중국의 강압적 경제정책을 우려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홍콩, 신장,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상황과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 등 다양한 이슈와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G7 정상들은 지난 6월 공동성명에서 처음으로 중국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중국을 향한 공세를 강화했다. 열린사회를 수호하고 민주주의를 지원하겠다는 다짐을 재확인한 것도 중국을 향한 메시지로 보인다.

G7 외교장관들은 또 이란에 핵 확대를 중단하고 협상을 타결하라고 압박했다. 이에 앞서 트러스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이란 핵 회담이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성명에는 북한에 도발을 자제하고 외교적 절차에 참여하라고 재차 촉구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는 5월 외교·개발장관회의 후 공동성명과 같은 수준이다.

[최아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