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3대 코인 시총 1152조 증발, 韓증시 절반 사라졌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22년 유동성 위축국면, 조정장세 대응 전략] ② 美 국채 10년물 상승세 역비례, 위험자산 코인 폭락세 지속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박정호 기자 = 23일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이 큰 폭으로 하락한 4,300만 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신호에 위험자산을 처리하려는 리스크 헤지(위험 회피) 증가로 가상자산 대부분이 폭락했다. 2022.1.2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발 유동성 위축 우려가 불거지며 가상자산(암호화폐) 3대장으로 꼽혔던 비트코인, 이더리움, BNB(바이낸스코인)의 폭락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석 달도 채 안된 기간 증발한 시가총액 규모만 원화 기준으로 1152조원에 육박한다.

23일 글로벌 코인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 및 국내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이날 낮 12시50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3만5300달러를 기록 중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6615억달러(약 789조원)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비트코인 가격은 6만8500달러를 웃돌았고 비트코인 시가총액도 1조2900억달러(약 1538조원)에 달했다. 이후 현재까지 3개월이 채 안되는 기간 시세는 절반 이상 빠졌고 시가총액도 749조원이나 증발했다.

비트코인 뿐 아니라 이더리움 시세도 지난해 11월 4800달러를 웃돌다가 현재 2400달러선에 머물고 있다. 이더리움 시가총액도 이 기간 5730억달러(약 683조원)에서 2866억달러(약 342조원)으로 움츠러 들었다. BNB 시가총액 역시 이 기간 1114억달러(약 133조원)에서 600억달러(약 72조원)으로 줄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들 3개 코인의 최근 2개월여 기간 시가총액 감소분만 9663억달러, 원화로 환산하면 1152조원에 이른다. 1152조원은 최근일 국내증시 보통주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약 451조원)부터 24위 하나금융지주(13조6760억원)까지를 모두 더한 금액(약 1155조원)과 유사한 규모이자 국내 증시(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 합계(약 2504조원)의 46%에 이르는 규모다. 코인시장의 급락세가 얼마나 급격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해외 거래소 대비 프리미엄(웃돈)이 형성된 국내 가상자산 거래 사이트들에서도 주요 종목들의 약세는 확연히 나타난다. 지난해 11월 8100만원을 웃돌던 비트코인 개당 가격은 현재 4338만원선에 머물고 있다.

코인 시세 폭락 기간은 거의 정확하게 미국 국채금리 상승기간과 겹친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2년 가까이 지속돼 온 저금리 기조로 팽창일로를 걸어왔던 글로벌 유동성이 이제는 쪼그라들고 있다는 것이다. 그간 유동성의 힘으로 거품이 형성됐던 위험자산들의 조정도 본격화되고 있다. 코인은 위험자산 중에서도 유동성 확장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은 자산으로 꼽힌다. 그만큼 조정도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도 지난해 11월초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작이 공식 선언됐고 이후 금리인상 등 유동성 축소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시장에서도 어느 정도 지난 2년과 다른 국면이 펼쳐질 것이라고 예상하기는 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행보는 시장 예상보다 더 급격히 진행됐다. QT(Quantitative Tightening, 양적긴축)가 다음 카드로 본격 언급되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횟수 및 인상폭도 종전 예상치를 웃돌 것이라는 우려도 커졌다.

머니투데이

실제 미국국채 10년물 수익률은 2020년 7월 0.5%대까지 밀렸다가 화이자·모더나·얀센 등의 코로나 백신 보급을 계기로 점차 상승세로 돌아섰다.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지난해 7월 1.2%선에서 11월 1.6%선까지 오른 후 올해 들어 이달 18일(현지시간)에는 재차 1.875%까지 올랐다. '미국국채 10년물 수익률 2%'선은 2019년말~20년 초반 수준으로 금리지표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는 것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숫자다.

금리상승에 따른 코인시장 약세는 당분간 더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크라켄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 시세의 1차 지지선을 2만6000달러로 예상했다. 현재 시세보다도 25% 가량 더 빠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