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2 (일)

이슈 국제유가 흐름

현대硏 "국제유가 100달러시 정유사 원가부담 23%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2022년 시나리오별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통화긴축, 중국의 성장 둔화가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는 위기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일 발표한 '최근 글로벌 경기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전 세계가 코로나 대유행에서 벗어나 회복 기조를 보이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 주요국 통화긴축, 중국의 경제둔화 등 세가지 요인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는 위드코로나 정책 확대로 인해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러시아발 경기 악화 우려는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는 세계 경제의 주름살을 늘리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뿐 아니라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르는 상품가격 불안정성 확대, 물가 상승 압력 고조, 실물 경기 침체 등과 같은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매일경제

미국 정책 금리, 소비자 물가, 실업률, 경제 성장률 추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전 보고서에서도 국제유가가 연평균 배럴당 100달러에 도달시 경제성장률 0.3%포인트 둔화, 소비자물가 상승률 1.1%포인트 상승, 경상수지 300억 달러 이상 악화 등 주요 거시경제 지표에 악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산업별로도 정유산업의 원가가 약 23.5% 오르는 등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통화긴축을 시작한 것도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는 코로나 사태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성장 흐름을 이어 가고 있지만 최악의 인플레이션 등으로 경제 불확성이 증대되는 상황이다.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대비 7.9%로 4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물가 오름세가 그치지 않을 경우 미 연준의 긴축강도가 강화되어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971년 이후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는 총 9번으로 대부분 금리 인상 후 경기가 연착륙했다. 다만, 상대적으로 물가위험이 높은 금리 인상 시기인 1972∼1974년 ,1976∼1980년, 1980년대에는 금리 인상 이후 경기 후퇴를 경험한 바 있다.

보고서는 "이번 금리 인상기에 미국 경제의 자신감으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우세하지만 향후 유가 상승 등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과 양적 긴축이라는 변수가 존재해 이를 낙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제가 둔화조짐을 보이는 것도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5% 안팎으로 제시했다. 이는 톈안먼(天安門) 시위 유혈진압에 따른 서방과의 갈등 여파가 지속되던 1991년(4.5% 목표) 이래 최저치이다. 그럼에도 중국사회과학원(5.3%)이나 IMF(4.8%) 등 다른 전망기관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다. 중국 경제는 금리 인하 등 경기 부양 정책에 힘입어 내·외수 동반 회복세를 보이나,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경기 하방압력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이 성장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과의 갈등 심화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의 안정화, 코로나19 재확산 억제를 통한 경제 운영 정상화, 부동산 시장 등을 중심으로 한 투자 회복으로 내수 선순환 고리 형성을 주요 과제로 내놨다. 또한 재정의 경기 안정화 지원 역할이 상당히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 금융통화정책의 역할이 강조될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대외 리스크가 국내 경제에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이사대우는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경기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거시경제 전반의 안정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경제와 방역을 모두 고려하는 엔데믹 전환이라하더라도 선제적인 로드맵 제시와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유연한 정책 집행 체제 구축 등의 정책 배려도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이나 글로벌 공급망에 관한 이슈들이 경영 환경에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전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며,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는 이런 기업 노력을 적극 지원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