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美 국무·국방장관, 우크라 전격 방문…러 침공 이후 처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키이우서 젤렌스키와 대면회담

러, 몰도바 침공 가능성도 시사

유엔 사무총장도 러, 우크라 방문 계획

아시아경제

24일(현지시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왼쪽)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오른쪽)은 우크라이나 키이우(키예프)를 직접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미국의 국무, 국방장관이 함께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을 했다.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 고위인사가 우크라이나를 직접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공세를 멈추지 않고 이웃 나라인 몰도바에 대한 침공 가능성까지 내비치면서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올렉시 아레스토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은 이날 유튜브 인터뷰를 통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키이우(키예프)에 직접 방문했으며,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래 60일 만에 미국 고위인사가 처음으로 우크라이나를 직접 방문한 것이다. 미국의 장관들이 직접 키이우를 방문한 것은 최근 돈바스 지역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의 대대적인 공세를 견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강력한 지원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측은 아직 공식적으로 두 장관의 키이우 방문 사실을 공개하지는 않고 있으며, 조만간 조 바이든 대통령의 추가적인 무기 지원 발표와 함께 방문사실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앞서 2주에 걸쳐 우크라이나에 대한 8억달러(약 9900억원) 규모 무기지원을 두 차례 발표한 데 이어 또다시 추가 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두 장관의 방문은 앞서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이 TV연설에서 직접 밝혀 공개됐다. CNN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해당 연설에서 "우리는 단지 선물이나 일종의 케이크만 기대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인 물건과 구체적인 무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우리는 우리에게 필수적인 무기 목록과 인도 속도를 논의할 것이며 무엇보다 강력한 중화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이에 아랑곳않고 돈바스 지역과 우크라이나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공세를 이어갔다. 마리우폴 내 우크라이나 수비병력의 최후 저항지로 알려진 아조우스탈 제철소 인근에 공습과 폭격이 이어졌고 오데사에서는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습으로 8명이 숨지고 18명이 부상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측이 제안한 휴전협상을 묵살한 채 공격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향후 우크라이나 남서부의 몰도바까지 침공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전날 러시아 중부군관구 부사령관인 루스탐 미네카예프 소장은 "남부 우크라이나를 완전히 손에 넣으면 몰도바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과 연결되는 길이 열린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쟁 확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개전 이후 처음으로 모스크바와 키이우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을 별도로 만나 휴전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 유엔은 성명을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26일 모스크바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회담하고, 28일에는 키이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군비지출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2조1130억달러를 기록해 처음으로 2조달러를 돌파했다. 이 연구소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올해 군비 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