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국제유가 흐름

국제유가 초강세에도 中 정유공장 가동률 70% 이하...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일반적인 정유공장의 모습(특정 장소 및 업체와 관계 없습니다.).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 유가가 연일 초강세를 이어 가고 있지만 중국 정유공장들이 30% 넘게 생산시설을 놀리고 있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공장을 돌리기만 하면 돈을 긁어모을 수 있음에도 사회주의 특유의 국가안보 논리에 매몰돼 횡재를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석유 공급 부족 현상이 만성화되면서 원유와 휘발유·경유·항공유 등 모든 유류 제품 가격이 치솟았다. 그러나 중국은 이런 호기에도 정유시설을 완전 가동하지 않고 있다. 중신동방금융투자는 정유시장의 약 4분의3을 차지하는 국영 정유기업들의 공장 가동률이 지난 10일 기준으로 71%에 그쳤다고 밝혔다. 민간 정유회사 역시 64%에 머물렀다. 폭증하는 수요를 충당하고자 모든 정유공장을 최대 용량으로 돌리는 미국과 대조된다. 원자재 정보업체 케이플러의 수석 분석가 제인 셰는 “석유 제품 수출 시장에서 중국의 부재가 강하게 느껴진다”며 “지난 3∼5년간 중국이 정유 능력을 크게 늘렸지만 수출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정유 산업을 ‘내수용’으로 규정해 수출을 강하게 통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공산당은 정유 시설 운영의 최우선 목표를 국내 석유 제품 수요를 충당하는 데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생산시설이 남아도 이를 굳이 수출용으로 전환해 추가 수익을 낼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기후변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석유 정제 제품 수출을 줄이는 것도 영향을 줬다. 중국 해관총서 자료를 보면 지난해 휘발유·경유·항공유 하루 수출량은 121만 배럴로 중국 전체 석유 정제 능력의 7%에 불과하다. 석유산업 컨설팅업체 오일켐은 “중국 정유업체가 (수출만 하면 벌 수 있는) t당 372달러(약 48만원)의 잠재적 횡재를 놓치고 있다”고 짚었다. 중국이 자국 내 정유시설을 최대한 가동해 정유 제품을 수출하면 세계적인 수급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며 매체는 아쉬워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