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10월1일부로 NHN빅풋 흡수합병
PC·모바일로 쪼개졌던 웹보드 ‘한곳으로’
빅풋은 NHN게임본부로, 신사업 P2E도 집중
24년까지 그룹사 효율화도, 82개 법인→60개로
NHN 판교 사옥. (사진=NHN)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NHN(181710)이 다시 게임 명가로의 재건에 나선다. 웹보드 게임 사업 환경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그간 자회사로 흩어졌던 게임 사업을 자사로 본사로 흡수, 역량을 한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NHN은 오는 10월 1일을 합병기일로 게임 자회사 NHN빅풋을 흡수합병한다고 14일 밝혔다. 동시에 △콘텐츠 △기술 △결제 △커머스 등 4대 핵심사업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그룹사 구조 효율화도 추진한다.
이번 흡수합병은 대내외적인 게임 사업 환경 변화에 따라 이뤄졌다. 회사 관계자는 “이달 1일부로 웹보드 게임 규제가 완화되면서 사업 운영 안정성이 확보됐고, 본업인 게임사업에 강력히 집중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고스톱·포커 등 웹보드 게임의 국내 1위 사업자인 NHN은 그간 게임 자회사 NHN빅풋과 웹보드 게임 사업을 분담해왔다. NHN이 PC 웹보드 게임 분야를, NHN빅풋이 모바일 분야를 각각 맡는 구조였다.
웹보드 게임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뀌는 상황에서 이처럼 흩어져 있는 사업 구조를 한데 뭉쳐 선택과 집중하겠다는 게 이번 NHN빅풋 흡수합병의 주 배경이다.
실제 NHN빅풋의 대표 모바일 웹보드 게임 ‘한게임 포커’는 지난 9일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에서 약 1년 만에 10위에 오르는 등 웹보드 게임 규제 완화 효과를 보고 있는 상태다.
더불어 NHN 내부적으로는 이번 합병을 통해 전반적으로 힘을 잃고 있는 주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NHN의 주가는 지난해 말 4만원대에서 최근 2만원대까지 떨어진 바 있다.
올초 소규모 자회사 2곳을 흡수하며 NHN그룹의 게임 자회사로 이름을 올렸던 NHN빅풋은 불과 5개월여 만에 NHN의 게임사업본부에 속하게 됐다. 기존 김상호 NHN빅풋 대표는 오는 10월 흡수합병이 마무리되면 NHN의 게임사업본부장이 될 예정이다.
NHN빅풋을 흡수하게 되면 NHN은 PC와 모바일 양 플랫폼의 웹보드 게임 사업을 강화하며 시장에서 선두를 공고히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게임 분야의 신사업인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 등블록체인 중심 사업도 공격적으로 펼쳐갈 계획이다.
NHN 관계자는 “그간 ‘한게임’으로 보유해온 풍부한 NHN만의 게임재화 관리 노하우를 적극 발휘하면 블록체인 게임 사업에서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업계를 리딩하기 위해선 모회사와 자회사에 분산돼 있던 사업 역량을 한 곳으로 결집할 필요가 있었다”고 했다.
실제 NHN빅풋은 올해부터 7종 이상의 P2E 게임을 준비하고 있다. 당장 연내엔 좀비 아포칼립스 세계관에 P2E 요소를 접목한 ‘다키스트 데이즈’라는 기대 신작을 선보일 계획이다. NHN빅풋은 P2E 게임을 통해 게임 사업 외형을 향후 2년내 3배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사업을 운영중인 NHN 클라우드, 결제 및 포인트 사업을 운영중인 NHN 페이코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등 본사를 주축으로 게임과 타 사업 부문 간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해나가기로 했다.
이번 합병을 시작으로 NHN은 선택과 집중의 사업전략에 기반해 그룹사 구조 효율화도 적극 추진한다. 그룹 4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82개에 달하는 연결법인을 오는 2024년까지 60여개로 재편하며 경영효율을 극대화해 나갈 방침이다.
정우진 NHN 대표는 “급변하는 게임산업에서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잡기 위해 사업 역량을 본사로 집중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며 “본사가 게임사업을 주축으로 체급을 키우고, 이와 함께 콘텐츠, 기술, 결제, 커머스 등 자회사 신사업의 동반성장을 이끌며 글로벌 톱티어 테크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