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콘진원 ‘게임이용자 패널 연구결과 발표회’
2년간 아동·청소년·성인 게임이용자 추적연구
아동 패널 게임 과몰입 1년이면 호전돼, 성인도 유사
게임이용자 패널 연구 보고서 표지.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게임 과몰입은 대부분 일시적 현상입니다. 다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과의 연관성은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5일 서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개최한 ‘게임 이용자 패널·임상의학 연구 결과발표회’에서 나온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날 행사에선 2020년, 2021년 두 차례 진행된 게임 이용자 대상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조문석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는 이날 첫 발표자로 나서 “1차년도(2020년) 게임 행동유형 조사에서 과몰입군으로 판정된 아동·청소년 패널 중 2차년도(2021년)에도 과몰입군으로 남은 응답자는 한 명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전부 2차년도의 과물입군으로 남은 아동·청소년 응답자는 일반이용자군(48.4%), 선용군(13.3%), 과몰입위험군(38.3%)으로 이동했다. 성인 패널 역시 과몰입군 1명을 제외하면 전부 과몰입 정도가 낮은 다른 유형으로 이동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상 게임이용장애는 1년 이상 게임 관련 장애 행동이 지속돼야 하지만, 과몰입군으로 남은 사람은 1명에 불과했다”며 “대부분이 일시적인 문제를 겪을 순 있지만, 게임 외적인 요인에 따라 상태가 완화되거나 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ADHD와 게임 과몰입간 연관성에 대해 언급했다. 한 교수는 이날 게임 이용자에 대한 임상의학 코호트 연구 결과를 발표, 일반 이용자와 게임 선용자, 과몰입 위험군, 과몰입군 사용자의 뇌 활성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다.
한 교수는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ADHD 특성을 보인다”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패널 토론에선 이 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장유진 충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게임 행동 유형은 언제든 변할 수 있고,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이끌 정도로 지속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