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문화재청 노조 "靑 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은 정체성 훼손"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체부 활용계획' 반대 논평…"역사성·민주성 도외시하고 궁전으로 퇴행"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최근 청와대를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현재 청와대를 관리 중인 문화재청 노조가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 문화재청지부는 25일 논평을 내 "청와대를 거대한 미술관으로 재탄생시켜 베르사유 궁전처럼 꾸민다는 문체부 장관의 업무보고에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 장관은 지난 21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청와대 본관과 관저 일부 공간 등을 문화예술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과 수목원, 조각공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에 대해 노조는 "문체부 장관의 업무보고는 청와대의 역사성과 개방의 민주성을 도외시하고 거대하고 화려한 궁전으로 되돌리는 퇴행이 아닌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문체부가 현 관리주체인 문화재청을 사실상 '패싱' 한 게 아니냐고 비판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5월 청와대가 개방된 이후 대통령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청와대 권역 시설 개방·관리 업무를 맡아왔다. 이를 위해 내부에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 조직도 설치한 상태다.

연합뉴스

박보균 문체부 장관,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통령 업무보고를 하루 앞두고 사전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7.20 utzza@yna.co.kr



노조는 "문체부는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하고자 하는 관계 전문가, 현재 청와대를 관리하는 문화재청의 의견을 묻고 들은 적이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소위 상위 부처라고 해 일방적으로 통보한 것은 아닌가"라며 "천 년 역사의 청와대를 대대손손 보존하고 향유할 중차대한 계획을 몇몇 관료의 단기간 기획으로 갈음할 수 있냐"고 지적했다.

노조는 "청와대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이 훼손되는 문체부 계획에 우려의 뜻을 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청와대를 개방한 취지가 무엇인지, 역사성을 어떻게 보존할지 다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활용 방안을 두고 문화재청 쪽에서 입장이 나온 건 처음이다. 문체부 계획이 발표된 이후 문화재청 차원에서는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내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기준 문화재청 노조 조합원은 498명이며, 5급 이상 후원 회원까지 합치면 약 700명에 이른다.

익명을 요구한 한 문화재위원은 "청와대는 현재뿐 아니라 미래를 생각해서 긴 호흡으로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일각에서는 문체부가 관계부처나 학계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가는 부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청와대 복합문화공간 조성 계획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 업무보고에서 청와대 활용 청사진 등을 담은 5대 핵심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현재 문화재청이 임시 관리하는 청와대를 문화예술, 자연, 역사를 품은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