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바이든 치매? 국내 신경과 교수에게 물어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바이든 악수 했는데 또 악수 기다리는 모습 포착

최호진 교수 “치매 보다 낮은 경도인지장애 가능성 높아”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로널드 레이건 빌딩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사망한 의원을 호명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이 또다시 부상했다. 전문가는 몇 가지 에피소드만으로는 치매로 단정하기 어렵지만 치매 보다 낮은 경도인지장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소재 로널드레이건 빌딩에서 기아·영양·보건을 주제로 정부 관계자와 학계,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두루 참석하는 백악관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조 바이든이 참석한 의원에 대해 거론하는 과정에서 “마이크 브라운 상원의원, 코리 부커 상원의원, 재키 왈러스키 하원의원 등을 비롯해 여기 있는 모든 이들에게 감사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서 왈러스키 하원의원의 이름을 거듭 부르며 “재키, 여기 있나요? 재키 어디 있나요?”라고 물었다.

그러나 왈러스키 의원은 지난 8월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 내외는 성명을 통해 “갑작스러운 사고에 충격과 슬픔을 느꼈다”고 애도를 표한 바 있다.

이후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통령은 그녀를 기리는 법안 서명 행사가 금요일에 있을 예정이고, 그녀의 가족들도 만날 예정이라 대통령의 마음속에 가장 우선순위였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지난달 초에도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이 제기됐었다. 바이든 대통령이 악수를 한 뒤 또 다시 손을 내밀어 악수를 기다리는 듯한 장면이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영국 데일리 익스프레스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9일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지원 법안 서명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슈머 원내대표는 바이든 대통령과 가장 먼저 악수를 했는데, 바이든 대통령은 슈 원내대표와 악수를 하고 5초 뒤 또다시 손을 내밀었다.

이 장면이 포착된 영상을 테드 크루즈 공화당 상우너의원의 커뮤니케이션 특별 고문인 스티브 게스트가 이날 트위터에 공유하고 “바이든 대통령이 슈머 원내대표와 악수했다는 사실을 잊는 데 5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겁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79세 고령으로 미국 내에서 건강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특히 정치권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치매설도 제기했다.

전문가는 바이든 대통령의 치매설에 대해서는 조심스럽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치매 보다는 낮은 경도인지장애 단계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최호진 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29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증상만으로 환자를 판단하기는 조심스럽다”며 “특히 저러한 몇 가지 에피소드를 가지고 치매라고 단정하는 것은 매우 성급하고 의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일이라 생각된다”고 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고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노화에 의해서도 건망증이 나타나고, 순간적인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치매보다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며 “물론 향후 치매로 진행할 수 있는 위험도를 감별하기 위해서 정확한 인지기능 검사와 뇌영상 검사 생체지표 검사등이 필요할 수 있지만 치매라고 보긴 어렵다”라고 덧붙였다.

이승은 기자 selee2312@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