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월호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 페북 글
이태원참사 트라우마 관리를 위한 제언
"트라우마 평생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어"
피해자 공간 제공과 지원 최대화해야
소방관·의료진 등의 트라우마도 관리 필요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압사사고 현장 인근에 마련된 추모공간을 찾은 시민들이 희생자를 추모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유경근 전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31일 “이태원참사 피해자와 시민이 앞으로 겪어야 할 트라우마는 세월호참사의 경우와 아주 많이 유사할 것이다”고 밝혔다.
유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이태원참사 트라우마 관리를 위한 제언’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세월호참사는 구할 수 있었지만 구하지 않은 참사였고 이태원참사는 예방할 수 있었지만 예방하지 않은 참사이다”며 “차이점인 것 같지만 사실은 본질이 같은 참사이다”고 표명했다.
또 “트라우마는 치유되지 않는다. 평생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트라우마로 인해 개인의 삶과 공동체가 파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뿐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리는 트라우마를 겪는 당사자와 온 사회가 함께해야 한다”며 “그럴 때 트라우마는 거꾸로 우리 사회의 긍정적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태원참사의 트라우마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지자체·교육기관 등 책임기관은 피해자들(유가족과 생존자)이 안정적으로 모여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관련 지원을 최대한 해야 한다”며 “유의할 점은 피해자를 관리 대상·지원 대상이 아니라 참사를 함께 극복하기 위한 주체로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고 밝혔다.
유 전 위원장은 “정부 등 책임기관은 모든 수습, 지원 과정을 가장 먼저 피해자와 사전 협의하고 합의 후 결정해야 한다”며 “그 결과도 가장 먼저 피해자에게 알려야 한다. 언론에 알리는 것은 그다음이다. 이것이 피해자 트라우마를 제대로 관리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고 제언했다.
그는 “피해자 트라우마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같은 트라우마를 오랜 시간 겪고 있는 다른 참사의 피해자들과 이들을 꾸준하게 만나온 전문가들의 경험·사례를 적용해야 한다”며 “그러려면 바로 이들을 이태원참사 피해자 트라우마 관리를 위해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피해자 못지않게 트라우마를 제대로 관리해야 할 이들은 참사 수습에 함께했던 이들이다”며 “현장 구조를 담당했던 소방대원, 의료인은 물론 이들을 도와 구조·수습에 나섰던 시민과 주변 상인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유 전 위원장은 “(이들은) 같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이들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며 “꼭 유의할 점은 자원봉사 또는 수습과정 참여를 자랑스러운 경력이나 무용담으로 내세우는 이들을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다”고 제시했다.
그는 “세월호참사 이후 달라져야 할 것은 진상규명을 통한 재발방지만이 아니다”며 “거듭된 참사로 점점 더 많은 사람이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 그럴수록 우리 사회는 더 암울해진다. 이를 막는 것 또한 세월호참사 이후, 이태원참사 이후 아직 살아 있는 우리가 해내야 할 사명이자 책임이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