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콘텐츠 제어·드라이브 등
AI기반 패키지 서비스 경쟁
KT 모델들이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서비스를 홍보하는 모습. 사진제공=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자동차=탈 것'이란 단순한 수식을 넘어서는 커넥티드카 시대가 도래하면서 통신 3사의 미래 먹거리 선점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커넥티드카의 핵심이 '안정성'에서 '인포테인먼트(인포메이션+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확장하는 추세에 발맞춰 통신사들 역시 인공지능(AI) 기반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패키지 서비스로 맞붙고 있다.
KT, 포드코리아와 협력…'커넥티드카'부터 '인포테인먼트'까지
2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포드세일즈앤서비스코리아(포드코리아)와 협력해 2023년도 생산 예정인 포드와 링컨 차량에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포드코리아와는 종래 커넥티드카 협력을 지속해왔으나 인포테인먼트 영역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KT는 국내외 완성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14개 브랜드에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 커넥티드카 서비스 가입자는 320만명 이상이다. KT는 일부 제조사 차량에 내비게이션, 음성인식 솔루션, 지리정보시스템(GIS) 등을 특화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음악과 팟캐스트, 라디오, 게임, 종교 콘텐츠, 위키피디아, 영단어 번역도 사용할 수 있다.
두 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주행환경 특성상 AI 서비스도 진화하고 있다. KT는 '기가지니'를 통해 음성으로도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KT의 음성인식 서비스는 융합기술원에서 개발한 자체 솔루션인 AISE 기술이 적용됐다. AISE 솔루션은 노이즈 캔슬링, 에코 캔슬링 등을 통해 음성인식율을 업계 최고 수준인 97.5%까지 높였다고 KT는 설명했다.
SKT 볼보, LG유플러스 현대·기아차와 협력
볼보 XC60에 적용된 TMAP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실행 화면. 사진제공=티맵모빌리티 |
SK텔레콤 역시 자회사 티맵모빌리티를 중심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볼보 신형 'XC60'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탑재했다. 이는 AI 플랫폼 '누구(NUGU)' 기반의 '누구 오토', 티맵, 음악 플랫폼 '플로' 등을 포함한 패키지 상품이다. 다만 티맵모빌리티를 비롯해 플로 운영사인 드림어스컴퍼니 등 SK텔레콤 산하 사업부가 SK스퀘어 산하로 쪼개지면서 개발 구심점을 잃었다는 한계도 지적된다.
LG유플러스의 경우 내수점유율 80%대 현대·기아차와 협력관계 구축에 성공했다. LG유플러스가 내년 1월부터 국내 시장에 판매되는 현대자동차그룹 브랜드인 제네시스·현대차·기아 차량에 무선통신 회선을 독점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2003년부터 현대자동차그룹에 무선통신 회선을 제공했으며, 2019년부터 기아 일부 차종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음성인식 기반의 유플러스 드라이브 서비스, 자사 특화 콘텐츠인 교육(아이들나라)·스포츠플랫폼(스포키)·엔터테인먼트(아이돌플러스) 등이 주력 대상이다.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통신 3사는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기기, 자동차가 연결되면서 3개 산업을 아우르는 대규모 시장이기 때문이다. 완성차가 통신망을 빌려 쓰는 무선통신서비스 차량 관제 가입회선수도 급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회선수는 9월 말 기준 624만1320회선으로 5년 전인 2018년 말(179만1908회선) 대비 3.5배로 늘었다.
통신업계에서는 패키지 형태의 인포테인먼트 상품이 뜨고 있다는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커넥티드카의 핵심이 안정성인 만큼 차 브랜드 1개당 통신사 1곳이 붙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얼마나 차별화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지가 향후 중요한 경쟁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