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코로나 쇼크’ 이후 산업생산 최대·최장 감소…반도체 부진까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 경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상륙 초기 때처럼 흘러가고 있다. 생산과 소비가 움츠러들고 주요 업종에 대한 불확실성은 걷히지 않는 상황이다. 특히 주력 산업인 반도체 업황이 부진하면서 연말 경기 전망에도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1.5% 감소했다. 산업 생산은 지난 7월(-0.2%), 8월(-0.1%), 9월(-0.4%) 내리 줄어든 이후 감소폭을 키웠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본격적으로 타격을 입히기 시작한 2020년 4월(-1.8%)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생산이 4개월 연속으로 줄어든 것도 지난 2020년 1~5월 이후 최장 기록이다. 코로나19 위기가 시작했던 때와 경기 지표가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초기에는 경제 심리가 위축하면서 노동력과 중간재 조달이 줄어 생산이 감소했지만, 정부가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을 펴면서 회복했다”며 “최근 경제는 인플레이션에 소비 여력 자체가 떨어지고 에너지 가격 부담이 커지며 생산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긴축 정책을 펴는 가운데서도 고통받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선별 지원책을 써야 하지만, 정부의 재정 여력이 별로 없어 위기는 더 오래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을 포함하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제조업 가운데선 자동차 생산이 7.3%, 기계장비 생산이 7.9% 줄었다.



계속되는 반도체 부진



특히 반도체의 부진이 제조업 활력 감소에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반도체 생산은 전월 대비 0.9% 반등했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어려움은 여전하다. 반도체 생산은 지난 3월 이후 6월을 제외하고는 9월까지 계속 감소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 생산이 소폭 증가했는데 이전에 연속 감소했다는 데서 상대적 반등의 성격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업황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보고 있지는 않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1.4% 감소했는데,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2.7% 포인트 하락한 72.4%를 기록했다. 그동안 쌓였던 반도체 재고량을 일부 소진했으나 생산도 함께 조정한 영향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중국의 봉쇄 조치와 정보기술(IT) 산업의 불황 등 영향으로 수요가 줄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산업연구원은 내년에도 반도체 생산이 연간 4.9%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내년 반도체 수출은 9.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월드컵 특수에도 내수 회복 약해



내수 부진에 대한 신호도 감지되고 있다.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이 전월 대비 0.8% 줄었고,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도 0.2% 감소했다. 대표적인 소비자 대상 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1.4%), 예술·스포츠·여가(-1.4%), 운수·창고(-1.5%) 등이 소비 둔화와 맞물려 움츠러들었다.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3.1%) 판매가 늘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4.3%)와 의복 등 준내구재(-2.5%) 판매가 줄었다.

연말 상황은 더욱 어렵다. 11월에도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액은 수출액을 웃돌며 무역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 파업도 산업 경기에 영향을 주고 있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는 상황을 가계와 기업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소비·투자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 증가, 월드컵 특수 등 긍정적 요인도 존재하지만, 이태원 사고 영향, 반도체·부동산 경기 하강, 높은 물가수준, 금리 상승 등이 위험 요인”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내수 회복 강도가 제약되면서 향후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기업의 설비투자는 한 달 전과 변동이 없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향후 경기 국면을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내리며 4개월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어운선 심의관은 “세계적인 긴축 전환에 따라 금융 여건이 악화하면서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인 점이 선행지수에 나타났다”며 “아직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11월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가 형성되면서 나아지는 모습을 보인다”고 밝혔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