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비행사 다시 육성해 유인 달·화성 탐사 대비…
메탄·수소엔진, 원자력 추진선으로 심우주 개척,
2030년 무인, 2050년까지 유인 수송체계 구축]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6월 발사되고 있는 모습. /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의 활동 영역을 지구 너머 달·화성으로 넓히는 '담덕'(談德) 계획이 공개됐다. 담덕은 남북으로 영토를 넓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끈 광개토대왕이다. 심(深)우주 탐사 임무명으로 담덕을 붙인 배경은 이처럼 미지의 영역을 정복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에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공청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우주탐사 계획 초안을 발표했다.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는 우주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
美 아르테미스 잊어라, 韓 담덕 계획 청사진은
━
한국 최초의 심우주 탐사 계획 담덕 계획 초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내달 20일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 등은 심우주 탐사명에 이름을 붙인다. NASA는 2025년 여성 우주비행사를 달에 착륙시키고 심우주를 탐사하는 임무에 '아르테미스'(그리스 신화 속 달의 여신)란 이름을 붙였다. 소행성 탐사 최강국으로 평가되는 일본도 JAXA 소행성 탐사선에 하야부사(송골매)라고 명명했다.
한국도 담덕 계획을 통해 우주 탐사 활동폭을 넓힌다. 특히 2000년대 후반 이소연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 이후로 명맥이 끊긴 우주비행사를 재육성하고 유인(有人) 탐사에 대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유인 우주 탐사와 달 기지 건설에 필요한 선행기술 확보에 착수한다.
정부는 또 윤석열 대통령이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으로 발표한 2032년 무인(無人)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 계획도 재차 공식화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달·화성 궤도선·착륙선·운송선' 모두 자력 개발을 목표한다. NASA 주도 달 궤도 유인우주정거장 '게이트웨이'와 달 기지 건설을 위해 국제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
2050년까지 유인수송 체계 구축, 원자력 추진선 개발 추진
━
우주 발사체 개발 목표.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담덕 계획과 별개로 '우주 수송' 능력을 키우겠다고도 밝혔다. 누리호(KSLV-II) 고도화, 차세대 발사체(KSLV-III) 개발을 통해 2030년 무인 수송 체계, 2050년까지 유인 수송 체계를 갖추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한국이 아시아 우주 수송 허브(hub·중심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발사체 엔진은 메탄·수소 엔진으로 개발한다는 계획도 공개됐다. 특히 심우주 탐사선에 장착할 수 있는 '원자력 추진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시작으로 기술 검증까지 진행할 방침이다. 또 발사체를 지구 저궤도(LEO, 160~1000㎞)와 정지궤도(GEO, 약 35000~36000㎞)에 보내기 위한 기반을 확충한다. 2030년 공공·민간 발사장, 2040년까지 정지궤도·유인 발사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같은 우주 개발 전과정을 민간으로 이전해 '우주 경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우주기업체 세계시장 매출액 비중을 2040년 10%까지 끌어올린다고 선언했다. 우주 관광과 우주정거장 서비스 등을 통해 2050년 우주 산업을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등과 함께 10대 주력산업으로 성장시키는 게 최종 목표다.
━
27년 우주 예산 지금보다 2배, 우주委 대통령 직속기구로 뒷받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 비전.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우주 계획을 예산과 정책으로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7300억원 수준이었던 우주개발 예산을 2027년까지 1조5000억여원으로 확대하는 안이 제시됐다. 2030년대에는 2조원 수준까지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 내년 말까지 우주항공청을 설립한다. 현재 과기정통부 산하 청 형태로는 범부처 조정이 어렵다는 한계는 국가우주위원회를 통해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이 최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우주위원회를 대통령 기구로 격상한 만큼, 범부처 조정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우주위원회가 비상설기구라는 점을 감안해 상설 사무국 설치도 검토 중이다. 민군협력 우주개발 전문위원회, 우주산업 수출지원센터 등을 통해 각각 우주 안보와 산업도 대비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산학연 전문가 80여명과 관계부처 담당자들이 32번 회의를 개최해 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기본계획은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 등을 통해 보완하고 내달 20일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확정·발표한다.
김인한 기자 science.inh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