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기업, 귀환 기술 개발 중
동체에 방열판·낙하산 부착
임무 수행 뒤 내려오는 구조
운영비 최대 80% 절감 예상
지난 4월 미국 기업 아웃포스트 테크놀로지가 성층권에서 특정 물체를 매단 낙하산을 지상으로 내려보내는 실험을 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은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진 모습. 이 기술은 향후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회수해 재사용하는 데 이용될 예정이다. 아웃포스트 테크놀로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발사되고 나서 수년 동안 임무를 수행한 뒤에는 지구 궤도에 그대로 버려지는 인공위성의 운명을 바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은 28일(현지시간) 미국 기업 아웃포스트 테크놀로지가 최근 지구 궤도를 돌다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지상으로 안전하게 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아웃포스트 기술의 핵심은 인공위성을 발사할 당시부터 동체에 귀환용 장비를 부착하는 것이다. 장비는 크게 방열판과 낙하산이다. 이 장비들은 발사체에 실려 지구 궤도에 올라간 뒤 임무를 수행하는 수년 동안은 동체 안에 접혀 있다가 수명이 다해 지상을 향해 떨어질 때 활짝 펼쳐지는 구조다.
방열판은 고대 전투에서 쓰던 동그란 방패를 닮았다. 위성과 지구 대기권 사이를 가리는 역할을 한다. 대기권으로 돌입할 때 발생하는 수천도의 고온에서 위성을 보호한다. 그러다 위성이 성층권까지 내려오면 낙하산을 펼쳐 본격적인 감속에 들어가고 지상에 안착시킨다. 아웃포스트는 현재 이 기술의 일부를 지난 4월 두 차례 시험했다. 각각 상공 21㎞와 26㎞의 성층권에서 특정 물체의 낙하를 시행해 예정된 경로로 비행하고 연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위성을 회수해 다시 쓸 수 있다는 개념이 가능한 이유는 위성 수명이 기계 고장이 아니라 연료 잔여량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현재 인공위성은 모두 일회용이다. 장비가 고장 나지 않았어도 연료가 없으면 궤도 수정이나 자세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실용화된 연료 재보급 기술은 없다.
이렇게 모든 위성들의 운명은 예정된 임무 기간이 지난 뒤에는 지구 궤도에 방치되는 것이다. 수백억원이 훌쩍 넘는 제작 비용을 써 놓고 한번 쓴 뒤 위성을 버리는 일이 지구 궤도에서 1950년대 이후 계속 벌어지고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하면 인공위성 운영과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지상으로 돌아온 위성을 수리·보수해 쓰기 때문이다.
아웃포스트는 인공위성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대 8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번 기술로 ‘우주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플랫이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여성은 누구일까요?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