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中 관광객 환영하는 동남아…“코로나19 입국 규제 차별 없다”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역 강화하며 중국 관광객 복귀 기대

동남아 국가들 “중국발 입국자 차별 없을 것”

헤럴드경제

중국발 한국행 항공기에 탑승하는 모든 내·외국인의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 첫날인 5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에서 방역 관계자가 중국발 입국객들을 안내하고 있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에 주요국이 중국발 입국자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동남아시아 각국은 “차별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남아 국가들은 감염 증가 위험에 대비하면서도 관광산업 활성화와 중국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5일 방콕포스트와 외신에 따르면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부총리 겸 보건부 장관은 중국발 입국자가 다른 국가에서 오는 방문객과 다른 대우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지난 4일 밝혔다. 아누틴 부총리는 “정부가 국민들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준비하고 있지만 별도의 규제를 가해 중국 관광객을 차별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태국 정부는 이날 관계 부처 합동회의를 열고 다음 주부터 일부 국가에서 오는 입국객에 대해 코로나19 보험 가입 의무화를 다시 도입하기로 했다. 귀국 때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 확인서가 필요한 국가에서 오는 입국자가 대상이다. 중국발 입국객도 적용 대상이지만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객의 본국이 시행하는 규칙에 부합하는 안전 조치라고 아누틴 부총리는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모든 입국자에게 출발 48시간 전에 실시한 PCR(유전자증폭) 검사 음성 결과를 제출하도록 했다. 인도는 중국, 한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입국하는 이들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했다.

태국 질병통제국(DDC)은 외국인 방문객 코로나19 모니터링센터를 열고, 국제선 항공기 폐수도 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차별은 없다고 분명히 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난달 말 중국인을 포함한 모든 입국자에 대한 발열 검사를 하고, 감염이 의심되면 코로나19 검사를 하기로 했다. 중국발 항공기에 대해서는 폐수를 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전날 “외국인 입국 규제를 강화할 것이지만 어느 나라도 차별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역시 중국인 관광객 규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산디아가 우노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 관광객을 환영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고 방역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지난 3년간 막았던 자국민의 해외여행도 허용하기로 했다.

중국 내 코로나19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늘자 한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호주, 인도 등 주요국이 중국발 입국자 규제를 강화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로 관광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입은 동남아 국가들은 중국인 관광객 재유입에 더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태국을 찾은 외국인 입국자는 2019년 연간 4000만 명 규모였으나 2021년 42만8000명으로 급감했다.

태국은 2019년 1100만 명으로 외국 관광객 중 가장 많았던 ‘중국인의 귀환’을 손꼽아 기다려왔다. 여행 제한이 해제되자 태국관광청이 대규모 캠페인에 나서고 방콕, 푸껫, 파타야 등 주요 관광 도시들도 손님맞이 채비에 분주하다.

2019년 말레이시아 방문객 2610만 명 중 중국인은 310만 명으로 세 번째로 많았다. 인도네시아에도 중국인이 한 해 200만 명 이상 방문했지만, 지난해에는 10만 명 수준으로 급감했다.

동남아 국가들이 방역을 강화하면서도 중국만 콕 집어 규제를 가하지 않는 것은 특수한 관계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동남아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며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군사적 교류도 강화해온 영향도 반영됐을 가능성도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