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찬송가 부르며 눈물 흘린 공수처장, 불교계 분노에 “부적절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장이 새해 시무식에서 찬송가를 부른 건이 알려져 종교 편향 논란이 일었다. 불교계는 김 처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김 처장은 결국 사과했다.

김 처장은 5일 입장문을 통해 "공수처 구성원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민 기대에 부응하자는 취지로 말한 것"이라며 "이유를 불문하고 공직자이자 수사기관장으로 특정 종교 편향적으로 비칠 수 있는 언행을 한 것은 부적절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 언행이 불교계에 심려를 끼쳐드리고 사부대중 여러분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 데 대해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더욱 유의하고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한치 치우침 없는 자세를 견지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 처장은 지난 2일 공수처 시무식에서 독일 본회퍼 목사의 시 '선한 능력으로'를 소개했다. 히틀러 암살 계획을 세웠다가 1945년 처형 당한 본회퍼는 옥중에서 '선한 능력으로'를 썼다. 김 처장은 해당 시에 곡을 붙인 찬송가도 불렀다.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알려진 김 처장은 찬송가를 부르던 중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상황이 알려지자 불교계는 분노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는 같은 날 오후 위원장인 도심 스님 명의의 성명에서 "공수처장은 누구보다 정치·종교적 중립 의무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함에도 공식적 자리에서 개인 종교를 여과없이 드러낸 행위는 어떠한 변명의 여지도 없다"고 밝혔다. 또 "사정기관 책임자 자질과 최소한의 양심마저 버린 행위에 대해 공직자로 책임지고 사퇴하라"고 다그쳤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