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스라엘 극우 장관 “공공장소서 팔레스타인 국기 제거” 명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달 27일 분쟁 중인 요르단강 서안지구 칼란디아 인근에서 한 남성이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걷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이스라엘의 극우 연정에서도 손꼽히는 강경파로 꼽히는 이타마르 벤그비르 치안(국가안보) 장관이 이번엔 공공장소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없애라고 지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이스라엘 일간 <타임즈 오브 이스라엘>에 따르면, 벤그비르 장관은 이날 코비 샤브타이 경찰청장에게 공공장소에 내걸린 팔레스타인 국기를 제거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이날 내놓은 성명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드는 것은 테러리즘을 지지하는 행위”라며 “법을 어기는 사람들이 ‘테러 깃발’을 흔들고, 선동하고, 부추기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테러를 지지하는 깃발을 제거하고 이스라엘에 대한 선동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고 밝혔다. 그는 앞선 3일엔 오전엔 유대교와 이슬람교 모두에게 각별한 의미를 갖는 종교적 성지인 동예루살렘의 ‘성전산’을 방문해 큰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벤그비르 장관의 이날 지시는 1983년 이스라엘 군인을 납치해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오래 복역한 팔레스타인 수감자가 지난 주 석방된 뒤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들자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영웅적 환대를 받은 뒤 나온 조처라고 <로이터> 통신은 설명했다. 이스라엘법상 팔레스타인 국기는 불법은 아니지만 군경은 공공질서를 위협할 경우에만 이를 제거할 권한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돌연한 지시에 일선 경찰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스라엘 방송 <채널13>는 익명의 경찰관들의 말을 인용해 벤그비르 장관의 새 지시 이후 현장 경찰들이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지금껏 경찰들은 공공장소에서 소란이 발생해 문제가 된다고 판단될 때만 팔레스타인 국기를 제거해 왔다.

지난달 29일 강경파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극우 연정에 출범한 뒤, 이스라엘 정부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강경 대응은 계속되고 있다. 이스라엘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리야드 말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외교장관의 여행 허가서를 무효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의 1일 취임식에 참석했다 돌아오는 길에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자신의 여행 허가가 취소됐다는 사실을 통보 받았다. 이스라엘 정부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입출국할 때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앞서, 유엔(UN)은 지난달 30일 총회를 열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이 적법인지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단을 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지난 6일 안보 관계 장관회의를 열어 요르단강 서안지구 시(C)구역의 팔레스타인 관련 건설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여러 제재 안을 통과시켰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이태원서 떠난 뒤 세상에 온 너의 노래 “다시는 그곳에…”
▶▶손웅정 심은 데 손흥민 났다! “검색 아닌 사색의 힘” [인터뷰]▶▶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