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난방비 실질 인상폭 1년새 50%↑…다음달엔 전기료까지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난히 추운 올겨울 '난방비' 얘기로 전국이 들썩입니다. 급격히 오른 도시가스 요금에 '난방비 대란'이 현실화한 것입니다. 문제는 내달부터 전기료까지 대폭 오른다는 점입니다.

MB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난방비 대란' 현실화/사진=연합뉴스


31일 한국부동산원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당 평균 난방비(지역난방·중앙난방 기준)는 2021년 12월 334원에서 지난해 12월 514원으로 1년새 53.9% 올랐습니다.

지역별로는 세종(1천75원)의 난방비가 같은 기간 55.6% 상승하며 ㎡당 1천원을 넘었습니다. 이어 경기(848원), 서울(767원), 인천(675원), 대전(638원), 충북(515원), 대구(396원) 등의 순으로 ㎡당 난방비가 많이 들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2021년 12월 대비 지난해 12월 난방비가 서울(59.5%), 경기(55.3%), 인천(52.4%) 모두 50% 이상의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난방 방식에 따른 도시가스 요금과 열 요금은 최근 1년 동안 각각 38.4%, 37.8% 올랐으나 올겨울 한파로 인해 난방 수요가 대폭 늘어 실질 인상 폭은 이보다 훨씬 높은 50%를 웃돈 것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1년 새 실질적으로 민수용(주택용·영업용) 가스요금 자체가 1.5배 이상 뛰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용 도시가스 사용량은 8천555만GJ(기가줄)로, 2021년 12월(7천673만GJ) 대비 11.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가스 도매요금은 주택용 기준으로 4분기에 걸쳐 38.4% 올랐습니다.

MB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난방비 대란' 현실화/사진=연합뉴스


산업부는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실질 난방요금이 2021년 12월과 견줘 작년 12월에 1.54배 오른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통상 12월보단 1월에 더 추운 날이 많기에 내달 받게 될 올해 1월 관리비는 이달보다 더 비쌀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작년 말 정부의 전기료 인상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는 kWh당 13.1원 급등하며 2차 오일쇼크 시기였던 1981년 이후 42년 만에 최고 인상 폭을 기록할 예정입니다.

이에 한파 속 전기난로나 온풍기, 라디에이터 같은 난방 장치를 이용했다면 전기료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다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jfkdnjs@gmail.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