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中견제 합심' 바이든·모디…전투기 엔진도 합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이 조 바이든 행정부 허가를 받고 전투기용 제트엔진을 인도에서 공동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 핵심 국방기술을 외국으로 이전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결정이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려는 미국과 인도 간에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미국 측에는 인도의 러시아에 대한 군사 의존도를 낮추려는 포석도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과 고위급 회담을 하고 국방 및 정보기술(IT) 분야 협력 강화를 담은 '핵심 첨단기술 이니셔티브(iCET)'를 발표했다. 이는 작년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조치다.

iCET는 미국과 인도 사이에 △국방기술 협력 및 공동 생산 △인공지능(AI)과 양자 분야 혁신 생태계 구축 △인도에서 반도체 설계와 제조를 지원하는 형태의 공급망 다변화 △상업 우주비행 협력 △5G와 6G 등 차세대 통신망 구축 등을 담고 있다.

이 중 백악관은 구체적으로 인도와의 GE 군사협력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백악관은 기존 GE에서 쪼개진 방산업체 GE에어로스페이스가 인도에서 제트엔진 생산과 단계적 기술이전을 위한 수출허가요청서를 미국 정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제트엔진은 인도에서 독자적으로 생산할 전투기 동력 공급원으로 쓰일 예정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러한 GE 측 제안을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인도에서의 GE 제트엔진 생산계획과 관련해 "다양한 항공기 분야에 변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과거에 다른 곳에서 해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진정한 게임 체인저가 되는 잠재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인도 정부는 장거리포와 장갑차 분야 기술 협력 사업도 검토 중이다. 미국은 인도와 러시아의 오랜 무기 거래 관행 사이를 파고들면서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러시아를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키는 효과도 기대한다.

미국은 중국의 위협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막대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인도를 동맹으로 끌어들이려고 공을 들였다. 특히 미국은 중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대안으로도 인구 14억명인 인도를 주시하고 있다. 또 중국의 군사적 무력시위에 직면한 대만의 반도체 공급망을 인도로 다변화한다는 구상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인도에서 반도체 설계·제조 등 생태계 개발을 지원하고 숙련된 반도체 인력 개발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인도는 반도체 패키징(후공정)과 전통 반도체 제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양국은 차세대 통신망 구축에 힘을 쏟고, 달 탐사를 포함한 상업용 우주비행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미국과 인도는 올해 말 차기 iCET 회의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하고 협력 증진 방안을 계속 모색한다.

그동안 인도는 다른 어느 나라와도 동맹을 맺지 않고 스스로 강대국으로 성장하기를 열망해왔다. 인도는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러시아산 원유를 구입하고 공동 군사훈련에 참여할 정도로 독립적인 길을 걸었다. 그러나 인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년 차를 맞아 러시아와 조금씩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또 국경을 마주한 중국과 잦은 충돌에 휘말리게 되자 미국 및 인도·태평양 국가와 더욱 밀착하고 있다. 미국과 인도는 일본, 호주와 함께 대중 견제를 위한 역내 안보협의체 '쿼드' 회원국이기도 하다. 인도는 미국 주도 경제 동맹체인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도 참여 중이다.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과의 지정학적 경쟁은 10년 넘게 미국·인도 관계의 핵심축"이라며 "인도와의 iCET는 민주주의 파트너 간 전략적 베팅"이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인도의 긴밀한 파트너십이 경제안보기술 측면에서 중국을 포위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국가의 동참 압박으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워싱턴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