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1 (토)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김태열의 생생건강S펜] 뇌졸중 예후 악화, 뇌속 '편도체' 작용기전 입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편도체·척추 대사활동 활성화된 급성 뇌졸중 환자, 예후 악화 가능성 높아

- 전통적인 위험인자 외에 뇌졸중 예후에 관여하는 새로운 병태생리 기전 확인

헤럴드경제

예후가 서로 다른 급성 뇌졸중 환자의 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 결과. 편도체 및 척추에서 대사활동이 활성화된 환자(오른쪽)는 퇴원 후 뇌졸중이 2차례 재발하여 결국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했다. 반면, 대사활동이 정상 수준이었던 환자(왼쪽)은 재발 없이 안정적인 예후를 보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뇌졸중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공포, 불안, 스트레스를 느낄 때 활성화되는 뇌 속 ‘편도체’의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 뇌졸중 환자의 혈관질환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와 중앙대병원 박광열·석주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편도체 및 척추에서 활성화된 대사 작용이 뇌졸중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뇌졸중 환자 110명의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9일 밝혔다.

사망 위험이 높은 뇌졸중의 예후를 개선하려면 혈관 위험인자(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조절이 중요하다. 그러나 혈관 위험인자를 잘 관리해도 재발이나 혈관질환을 경험하는 뇌졸중 환자가 있으며, 그 원인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전통적인 위험인자 외에 뇌졸중 환자의 나쁜 예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뇌 속 ‘편도체’에 주목했다. 공포, 불안, 스트레스를 느낄 때 활성화되는 편도체는 대사 작용이 활발해지면 척추 등 조혈기관의 염증세포를 증가시켜 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최근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편도체가 뇌졸중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까지 연구된 바 없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장기의 대사활성도를 측정하는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으로 2015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110명을 검사했다.

이후 퇴원한 환자들의 뇌졸중 재발 및 혈관사건(심근경색, 말초동맥질환, 사망)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한 결과, 편도체와 척추의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이 수치가 낮은 환자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헤럴드경제

편도체 및 척추 대사활성도에 따른 생존율 분석. (왼쪽)편도체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낮은 환자보다 혈관질환 발생 없이 생존한 비율이 낮았다. (오른쪽)척추 대사활성도가 높은 뇌졸중 환자는 낮은 환자보다 뇌졸중 재발 없이 생존한 비율이 낮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편도체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낮은 환자보다 혈관사건 발생위험이 약 3.1배 증가했고, 척추의 대사활성도가 높으면 뇌졸중 재발 위험이 약 4.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당뇨, 사구체 여과율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결과, 편도체 및 척추의 대사활성도는 뇌졸중 재발과 혈관사건에 대해 독립적인 예측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전통적인 혈관 위험인자뿐 아니라, 뇌-심장을 연결하는 신경경로가 심혈관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해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나아가 편도체 대사활성도와 혈관질환의 연관성은 불안·스트레스에 대한 치료가 뇌졸중 재발 예방 효과가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향후 뇌졸중 치료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헤럴드경제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 중앙대병원 박광열·석주원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김정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졸중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병태생리 기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기전을 더욱 정확하게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 학술지 ‘심혈관영상저널(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1월호에 게재됐다.

kt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