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서울 초등교사 올해 합격자 114명 '전원 대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명은 1년 넘게 발령 못 받아…학생수 감소에 임용 적체

연합뉴스

공립 초등학교 교사 임용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올해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합격자 전원이 학교에 배치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오는 3월 1일자로 서울지역 공립 초등학교에 배치되지 못해 대기 중인 초등학교 교원 임용 후보자는 119명이다. 2023학년도 임용시험 합격자는 114명 전원이 합격 후 대기 중이며, 2022학년도 임용 합격자 5명 또한 대기 중이다.

임용 적체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학령 인구가 줄면서 정부가 교원 감축에 나섰기 때문이다.

최근 5년 사이 서울지역 초등 교원 합격자 수는 2018년 382명에서 올해 114명으로 급감했다.

서울의 초등학교 취학 대상자도 줄어들고 있는데 2023학년도에는 6만6천324명이 되면서 처음으로 6만명대로 떨어졌다. 2022년에는 7만442명이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초등학교 임용 시험에 합격하더라도 같은 해 3월부터 근무하기란 거의 불가능해졌다. 국회 교육위원회 무소속 민형배 의원이 교육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서울지역 초등교사 임용시험 합격자가 발령까지 대기한 시간은 평균 1년4개월이었다.

가장 긴 발령 대기기간은 2년 6개월로, 2019년 2월 합격한 15명은 2021년 9월에 발령을 받기도 했다.

서울의 발령 대기 기간은 모든 지역 중 가장 길다.

교육대학생들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학급 당 학생수를 줄이고 정규 교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교대의 경우 약 400명의 입학정원을 선발하는데 서울 지역만 해도 총 정원의 4분의 1 수준만 임용에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고 정부에서는 공무원 정원을 동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앞으로도 교사 정원 확보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f@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