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코로나 백신, 독감처럼 연 1회 정기 접종한다 "올해 10~11월 실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면역저하자는 2·4분기 2회…"고위험군 접종 적극 권고"

동절기 추가접종은 내달 7일까지…접종기관 3분의 1로 줄어



헤럴드경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앞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도 독감 접종처럼 매년 한 번씩 접종해야 한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오는 10∼11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무료로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안정적인 방역상황을 유지하고, 일상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고위험군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해 접종은 연 1회 4분기에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와 예방접종 전문위원회를 거쳐 올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실시하기로 하는 내용의 ‘2023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을 수립했다.

접종 시기는 오는 10∼11월이며 전 국민이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이 중 고위험군에는 접종이 적극 권고된다. 고위험군에는 65세 이상 고령층,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종사자, 항암치료자·면역억제제 복용환자 등 면역저하자, 당뇨병·천식 등 기저질환자가 포함된다.

특히 면역저하자는 항체 지속 기간이 짧은 점을 고려해 연 2회, 2분기와 4분기에 접종하도록 했다. 당국은 그동안 고령층을 ‘60세 이상’으로 정의했으나 60∼64세의 누적 치명률이 65∼69세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나는 등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이를 ‘65세 이상’으로 변경했다.

접종에 활용되는 백신은 개발 동향과 유행 변이,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해 유연하게 정하기로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코로나19 백신 연례 접종은 유행 억제가 아닌 중증·사망 예방이 목적으로, 신규 변이 출현 등으로 확진자나 중증·사망자가 급증할 경우에는 유행 억제를 위해 접종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연 1회로 전환하는 데에는 유행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되고 상당수의 국민이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판단이 깔렸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해 12월 셋째 주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고 위중증·사망 발생도 마찬가지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약 5개월(161일)이었던 재감염 소요 기간이 지난달 기준 약 10개월(309일)로 늘어났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연구 등에서도 감염과 접종을 통한 복합면역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됐다.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연 1회 접종을 계획하고 있는 점도 고려됐다.

한편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개량 백신을 활용해 실시해온 동절기 추가접종은 내달 8일 0시부로 종료된다. 코로나19 접종 의료기관 수는 현재 1만7000여개에서 종료 후 5000여개로 줄어들지만 접종이 전면 중단되는 것은 아니어서 희망하는 사람은 접종이 가능하다.

접종 의료기관에서 해제되는 의료기관은 23일부터는 사전 예약시 접종일을 내달 7일까지만 선택할 수 있다. 기존 예약분은 4월 30일까지만 접종하고 5월 1일 이후로는 예약을 취소한다. 다만 당일 접종은 보유 백신을 소진할 때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아울러 동절기 추가접종 종료 이후에도 12세 미만 소아 및 영유아는 현재의 접종기관 수를 유지하기로 했다. 코로나19 백신접종은 2021년 2월 26일 처음으로 이뤄졌으며 2021년 10월, 2022년 2월에 각각 3차와 4차 접종이, 2022년 10월에 2가 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추가접종이 시작됐다. 그간 활용된 백신은 총 10종이며, 지난 13일을 기준으로 총 1억3800만 회분의 접종이 이뤄졌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